![]() |
부정송금 등 금융사기 피해 고객을 대상으로 한 보상정책을 운영 중인 것은 국내 은행 중 토스뱅크가 처음이다.
토스뱅크는 2021년 10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고객들이 접수한 금융사기 피해 총 1620건을 대상으로 12억원 상당의 피해가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왔다고 27일 밝혔다. 고객들이 겪은 피해는 보이스피싱이 41건, 중고거래 사기 등에 연루된 부정송금이 1579건이었다.
토스뱅크는 국내 은행 중 처음으로 금융사기 피해 고객을 대상으로 한 보상정책을 도입했다. 금융사기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은 물론 고객들이 피해를 입었더라도 안정적인 금융 생활을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이같은 고객에 대한 실질적인 피해 구제까지도 은행의 적극적인 사회적 책임이라고 봤다.
고객들은 보이스피싱 범죄로 자신의 토스뱅크 계좌에서 타행으로 송금되는 등의 금전적 피해를 입거나 국내 온라인 중고 거래 플랫폼에서 거래하다 사기 피해를 당한 경우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피해 발생 15일 이내에 토스뱅크 고객센터로 접수하면 이후 수사기관 신고 증빙 등 절차를 거쳐 보상금을 받는다.
토스뱅크는 고객들이 입은 최초 1회의 피해에 한해 보이스피싱의 경우 최대 5000만원을, 중고거래 사기 등 부정송금의 경우 최대 5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2020년 7월 국내 핀테크 업계 처음으로 안심보상제를 도입해 적극 고객 피해 구제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피해 고객 약 2500명을 대상으로 15억8000만원 규모의 피해를 도왔다.
토스뱅크는 부정 거래를 감지해 사전에 차단하는 FDS(이상거래탐지시스템) 기술도 한층 고도화해 나가고 있다. 현재 토스뱅크는 전담조직을 운영하며 사용자 앱 이용 패턴을 24시간 모니터링, 부정거래를 감지해 차단하고 있다.
토스뱅크 관계자는 "적극적인 사회적 책무 중 하나는 고객이 겪는 금융사기 피해를 사전에 막는 것은 물론 나아가 실질적으로 도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은행 최초로 안심보상제를 도입하고 피해를 차단하기 위한 방안을 고도화해 토스뱅크 고객이라면 누구나 믿고 사용할 수 있도록 적극 고객을 보호하겠다"고 말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