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4주년] ‘통신’ 넘어 ‘연결’로…비통신 보폭 넓히는 통신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5.26 06:00
이프랜드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ifland) 내 소통공간인 이프스퀘어(if square)에서는 실사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작된 국내외 명소들을 선보인다. 이프스퀘어에 구현된 할리우드 산 그리피스천문대의 모습. (사진=SK텔레콤)


[에너지경제신문=정희순 기자] 이동통신사 사업의 무게추가 ‘통신’에서 ‘비(非)통신’으로 옮겨가면서 통신사의 활동 반경도 글로벌로 넓어졌다. 이통 3사는 인공지능(AI)과 디지털전환(DX), 플랫폼 사업을 고도화해 국경의 경계를 허물고 세계를 연결한다는 전략이다.

‘AI 컴퍼니로의 도약’을 올해 목표로 내세운 SK텔레콤은 지난 2월 ‘MWC 2023’에서 글로벌 AI 시장 공략을 목표로 국내 대표 AI 기업들과 AI 얼라이언스를 결성했다. 해외 진출이 가장 기대되는 서비스는 AI 에이전트 ‘에이닷’이다. 현재 SKT는 에이닷을 필두로 AI 스타트업 스캐터랩과 손을 잡고 소셜 및 지식 대화 능력을 모두 갖춘 AI 언어모델을 공동 개발 중이다. 이 서비스를 고도화해 이용자 기반을 확보한 후 글로벌 시장에 내놓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49개국에 출시한 메타버스 서비스 ‘이프랜드’도 지난 1분기 월간 실사용자 수의 10% 이상을 해외에서 유치하는 등의 성과를 거뒀다. SKT는 올해 하반기 경제시스템 도입을 본격화해 세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디지털 플랫폼 컴퍼니’를 외치는 KT는 글로벌에서 먼저 진가를 인정받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베트남에서 진행하는 헬스케어 사업이다. KT는 올해 초 현지에 의료법인 KT 헬스케어 비나를 설립하고, 원격케어 플랫폼을 활용한 암·만성질환 환자 대상의 비대면 케어 시범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선 규제 탓에 시도하지 못하고 있지만, 우선 베트남 시장에서 돌파구를 찾겠다는 의지다. 최근 6000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유치한 KT클라우드도 동남아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터넷데이터센터(IDC)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LG유플러스도 마찬가지로 플랫폼 사업에 힘을 주고 있다. 다만 지난해 말 개인정보 유출 등의 사태로 국제 이벤트인 ‘MWC 2023’ 참가를 취소하면서 글로벌 사업 확장에는 다소 제동이 걸린 모양새다. 다만 플랫폼 사업에 힘을 주겠다는 중장기적 차원의 전략을 수정한 것은 아니다.

지난해 LG유플러스가 발표한 U+3.0 전략에 따르면 회사는 라이프스타일·놀이·성장케어 등 3대 신사업과 웹3.0으로 대표되는 미래기술 등 4대 플랫폼 사업에 주력한다. LG유플러스는 오는 2025년까지 비통신사업 매출 비중을 30%로, 2027년까지 40%로 늘린다는 목표다.

[KT사진4]KT_베트남케어사업_시범사업개시

▲베트남 하노이의대병원에서 의료진이 KT의 비대면 케어 서비스 앱 ‘닥터어라운드’ 사용법을 환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사진=KT)

[KT사진3]KT_베트남케어사업_시범사업개시

▲베트남 하노이의대병원에서 의료진이 KT의 비대면 케어 서비스 앱 ‘닥터어라운드’ 사용법을 환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환자가 KT의 비대면 케어 서비스 앱 ‘닥터어라운드’를 설치하고 있다. (사진=KT)



hsjung@ekn.kr

정희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