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 '금리 수정' 들어간 은행권…14일 확정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6.12 14:49

12일 금리 확정 예정이었으나 14일로 미뤄져



김주현 위원장 "은행 협조는 사회공헌 노력에 반영"



금융위, 신용평가 가점 부여 등 지원책 마련

김주현

▲12일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청년도약계좌 협약식에서 김주현 금융위원장이 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오는 15일 신청을 시작하는 청년도약계좌의 금리 조건이 바뀔 전망이다. 은행들은 12일 청년도약계좌 금리를 확정할 예정이었지만 확정 시기가 14일로 연기됐다.

정부는 청년도약계좌 유지 지원을 위해 신용평가 가점을 부여하고, 정책금융 대출 시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방안 등을 추진한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최종금리가 이날 공시될 예정이었으나 14일로 미뤄졌다. 앞서 지난 8일 예고 공시 이후 우대금리 조건이 까다롭다고 빈축을 사자 은행들이 수정 작업에 들어간 것이다.

예고 공시에서 IBK기업은행을 제외한 NH농협·신한·우리·하나·KB국민·부산·광주·전북·경남·대구은행 등 10개 은행은 청년도약계좌 기본금리를 연 3.5%로 적용했다. 소득 우대금리는 모두 연 0.5%를 주고, 은행별 우대금리는 최고 연 2%를 적용해 우대금리를 모두 받아야 최고 연 6%의 금리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했다. 기업은행은 기본금리 연 4.5%, 소득 우대금리 연 0.5%, 우대금리 최고 연 1.5%로 최고 연 6.5%의 금리를 적용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월 70만원씩 납입하면 최고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상품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로 기여금과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고 최고 연 6%의 금리를 적용하는 파격 상품으로 눈길을 끌었다.

하지만 막상 은행들이 우대금리 조건을 까다롭게 설정해 연 6% 금리 달성이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은행들은 ‘역마진’을 이유로 내세웠으나 금융위원회는 정부가 예산을 편성했고 청년들을 지원한다는 취지를 살려야 한다며 기본금리를 높이고 우대금리 폭을 낮추도록 은행권에 요청한 상태다. 금융위에 따르면 올해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예산은 약 3440억원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12일 열린 청년도약계좌 협약식 및 간담회에서 이같은 취지를 다시 한번 더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국내외로 청년에 대한 지원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청년정책을 국정과제에 포함하고 그 중 하나로 청년도약계좌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며 "취급은행은 이익을 우선시하기 보다는 청년도약계좌가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고 했다. 이어 "취급은행의 협조는 사회공헌 노력에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청년도약계좌 최종 금리가 발표되기 전까지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사전 예고 때의 금리와 비교하면 금리의 변화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청년들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먼저 각 은행에서 적금을 담보로 하는 적금담보부대출을 운영하며 가산금리를 적용한다. 가산금리 수준은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은행별로 비교할 수 있다.

청년을 위한 정책금융 상품인 햇살론 유스 대출을 받으면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또 청년도약계좌에 납입·유지하는 청년에게 신용평가 가점을 부여하고, 만기 후에는 마련한 목돈을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과 연계해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청년도약계좌에서 마련한 목돈을 생애주기에 걸친 자산 형성으로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