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한국은행. |
한국은행이 9일 발표한 ‘7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7월 말 기준 1068조1000억원으로 전달 대비 6조원 늘었다.
잔액 기준으로는 지난달에 이어 또 다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전달과 비교해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들어 지난 3월까지 감소하다가 4월에 2조3000억원 늘어나며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후 5월 4조2000억원, 6월 5조8000억원, 7월 6조원 각각 늘어나며 넉 달 연속 증가했다.
특히 7월 가계대출 증가 폭은 2021년 9월(+6조4000억원)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컸다.
가계대출은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늘었다.
7월 은행 주택담보대출은 주택구입 관련 자금 수요가 지속되며 6조원 증가했다. 증가 폭은 2020년 2월(+7조8000억원) 이후 3년 4개월 만에 최대였던 6월(+6조9000억원)에 비해서는 줄었으나 여전히 큰 폭으로 늘었다.
주택담보대출은 올해 들어 지난 2월 3000억원 줄어든 것으로 제외하면 3월부터 5개월 연속 증가했다.
한은은 수도권 중심 아파트 매매거래 증가로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은 관계자는 "아파트 거래량 증가는 2∼3개월 시차를 두고 주택담보대출 실행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주택자금 수요 지속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전세자금대출은 지난 6월(+1000억원) 반짝 늘었다가 7월에 2000억원 다시 줄었다. 전세자금대출은 6월을 제외하고 지난해 11월 이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신용대출은 7월에도 100억원 감소했다. 높은 대출금리,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등에 따른 둔화 흐름이 지속됐기 때문이다.
다만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 효과 소멸, 주식투자 관련 일부 자금 수요 등으로 감소 폭은 6월(-1조2000억원) 대비 줄었다.
예금은행의 7월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1218조7000억원으로 전 달 대비 8조7000억원 증가했다.
계절 요인에 은행의 완화적 대출태도가 더해지면서 증가 규모는 5월(+7조8000억원), 6월(+5조5000억원) 대비 확대됐다.
대기업 대출은 3조8000억원, 중소기업 대출은 4조9000억원 각각 늘었다.
예금은행의 7월 말 수신(예금) 잔액은 2228조4000억원으로, 전월 말 대비 23조1000억원 줄었다.
한은은 수시입출식예금의 경우 전월의 계절적 증가요인 소멸, 부가가치세 납부 등으로 기업자금 등이 유출되면서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정기예금은 가계자금을 중심으로 12조3000억원으로 늘었다. 증가 폭은 전월(+4조4000억원) 대비 확대됐다.
자산운용사 수신의 증가 폭은 18조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전월에 3조3000억원 늘었던 것과 비교해 증가 폭이 커졌다.
머니마켓펀드(MMF)는 전달 규제비율 관리를 위해 인출됐던 은행자금 재예치, 국고여유자금 유입 등으로 15조1000억원 늘었다. 채권형 펀드는 1조9000억원, 주식형펀드는 1조1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ds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