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전업카드사 지난달 말 카드론 잔액 35조3952억원
급전 필요성에…현금서비스·리볼빙도 늘어
![]() |
▲22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의 지난달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35조3952억원으로 지난 6월(34조8468억원) 대비 5483억원 증가했다.연합 |
[에너지경제신문=박경현 기자]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치를 경신 중인 가운데, 급전이 필요한 다중 채무자가 주로 이용하는 카드론 잔액이 한달 동안 5500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BC카드)의 지난달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35조3952억원으로 지난 6월(34조8468억원) 대비 5483억원 증가했다.
급전이 필요한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저축은행이 대출 문턱을 높이면서 카드론에 수요가 몰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카드론 금리는 15% 안팎으로 중저신용 차주의 이자 부담이 높은 상황이다. 카드론 금리는 7월 말 기준 BC카드가 15.27%로 가장 높다. 하나카드(14.60%), 삼성카드(14.50%), 롯데카드(14.36%), KB국민카드(14.30%)도 14%를 넘긴 상태다.
카드론 외에도 현금서비스와 일시불로 물건을 산 뒤 카드 대금의 일부만 먼저 결제하고 나머지는 나중에 갚는 ‘리볼빙’ 역시 늘었다. 현금서비스는 7월 말 기준 6조4078억원으로 6월 대비 772억원 늘었고, 리볼빙 잔액은 7조3090억원으로 전달대비 392억원 증가했다.
대출규모가 커지자 카드사들의 건전성 우려도 나온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기준 카드사의 연체율은 1.58%로 전년 말 대비 0.38%P 높아졌다. 신용판매 연체율은 0.87%로 전년 말보다 0.22%P, 카드대출 연체율은 3.67%로 0.69%P 증가했다.
금감원은 하반기 카드사들에 부실채권 매각, 채무 재조정 등을 통한 자산건전성 관리를 지도하고 여전채 발행 시장과 카드사 유동성 상황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할 예정이다.
pearl@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