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연간 370억 생산원가 상승에도 수도요금 동결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9.06 14:16

원가절감 등 자구노력으로 연간 약 370억 원 원가 상승분 흡수
윤석대 사장 “정부 물가안정 기조 기여, 공공분야 경기회복 동참 제안”

clip20230906135726

▲윤석대(오른쪽) 한국수자원공사 사장과 노철민 노동조합위원장이 6일 대전시 수자원공사 본사에서 수도요금 동결을 선언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한국수자원공사가 해매다 370억원의 수돗물 생산원가 상승을 전망했으나 추석 물가안정 대책에 따라 수도요금을 2년간 동결하기로 했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노동조합과 함께 이날 대전시 수자원공사 본사에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수도요금 동결을 선언했다.

수자원공사는 지난해 기준 약 407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 지난 2021년 3421억원보다 19%(653억원)늘었다.

수자원공사는 공사가 본 이익을 국민에게 돌려주고 원가 인상을 자구노력을 통해 해결할 뜻을 알렸다.

수돗물 생산원가 370억원에 대해 신규 개발지역에 대한 용수 수요 적기 대응 등으로 수도사업 매출액을 해마다 약 262억 원 증가시키고 인공지능( AI) 등 디지털 혁신 기술 적용을 통한 스마트인프라 구축 등으로 시설가동 전력요금, 약품비 등 생산원가를 해마다 165억원 절감해 해결할 계획이다.

윤석대 사장은 선언식에서 "국민의 공기업으로서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적극 동참하고 국가 경제 활력 제고에 기여하고자 전 직원이 뜻을 모아 수도요금을 동결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생산비용 상승으로 우리 공사는 향후 연간 약 370억 원의 수돗물 생산원가 상승이 전망되나, 디지털 전환 등 혁신 노력을 통해 요금동결을 위한 여력을 마련했다"라며 "사회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이 솔선수범하여 민생경제가 안정될 때까지 물가 인상요인을 최소화하고 각자 영역에서 경제 회복에 동참해 줄 것을 제안한다"라고 말했다.

수자원공사는 수도요금 동결로 지방자치단체의 수도요금 인상 완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광역 상수도는 지자체가 국민에게 공급하는 수돗물(지방 상수도) 원가의 약 22%를 차지하고 있다.

수자원공사의 수도요금 동결로 지자체와 국민 부담을 줄이고 소비자 물가 상승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wonhee4544@ekn.kr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