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절감 등 자구노력으로 연간 약 370억 원 원가 상승분 흡수
윤석대 사장 “정부 물가안정 기조 기여, 공공분야 경기회복 동참 제안”
![]() |
▲윤석대(오른쪽) 한국수자원공사 사장과 노철민 노동조합위원장이 6일 대전시 수자원공사 본사에서 수도요금 동결을 선언하고 기념촬영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노동조합과 함께 이날 대전시 수자원공사 본사에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수도요금 동결을 선언했다.
수자원공사는 지난해 기준 약 4074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거둬 지난 2021년 3421억원보다 19%(653억원)늘었다.
수자원공사는 공사가 본 이익을 국민에게 돌려주고 원가 인상을 자구노력을 통해 해결할 뜻을 알렸다.
수돗물 생산원가 370억원에 대해 신규 개발지역에 대한 용수 수요 적기 대응 등으로 수도사업 매출액을 해마다 약 262억 원 증가시키고 인공지능( AI) 등 디지털 혁신 기술 적용을 통한 스마트인프라 구축 등으로 시설가동 전력요금, 약품비 등 생산원가를 해마다 165억원 절감해 해결할 계획이다.
윤석대 사장은 선언식에서 "국민의 공기업으로서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적극 동참하고 국가 경제 활력 제고에 기여하고자 전 직원이 뜻을 모아 수도요금을 동결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생산비용 상승으로 우리 공사는 향후 연간 약 370억 원의 수돗물 생산원가 상승이 전망되나, 디지털 전환 등 혁신 노력을 통해 요금동결을 위한 여력을 마련했다"라며 "사회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이 솔선수범하여 민생경제가 안정될 때까지 물가 인상요인을 최소화하고 각자 영역에서 경제 회복에 동참해 줄 것을 제안한다"라고 말했다.
수자원공사는 수도요금 동결로 지방자치단체의 수도요금 인상 완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봤다.
수자원공사에 따르면 지난 2021년 기준 광역 상수도는 지자체가 국민에게 공급하는 수돗물(지방 상수도) 원가의 약 22%를 차지하고 있다.
수자원공사의 수도요금 동결로 지자체와 국민 부담을 줄이고 소비자 물가 상승도 완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wonhee4544@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