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중소기업 외면" 대출 비율 미준수 제재 5년간 12조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9.19 18:02
2023091901001133600054401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5년간 중소기업 대출 비율을 못 지킨 국내은행에 부과된 제재 금액이 12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획일적인 기준과 제재 실효성 등이 문제로 지적되며 한국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지원 제도가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홍성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은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보면 2018년부터 올해 상반기까지 중소기업 대출 비율을 지키지 못한 12개 은행에 12조2630억원의 제재가 부과된 것으로 확인됐다.

6개 시중은행이 9조3544억원, 6개 지방은행이 2조9086억원의 제재를 받았다.

제재 규모는 2018년 1조6300억원에서 2020년 3조5000억원까지 늘었다가 지난해 다시 1조1270억원대로 떨어졌다.

올해는 상반기에만 이미 1조3720억원이 넘는 제재 금액이 부과됐다.

현행 ‘금융기관 여신운용규정’은 은행에 원화자금 대출 증가액의 일정 비율 이상을 중소기업에 대출하도록 정하고 있다. 신용도가 높은 대기업에 비해 자금조달 사정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은행그룹별로 정해진 이 의무대출 비율은 상반기까지 시중은행 45%, 지방은행 60%, 외은지점 25%를 적용해 왔다.

홍성국 의원이 제출 받은 ‘은행별 중소기업 대출 비율 연간 준수율 실적 현황’ 자료를 보면 2018년부터 상반기까지 국내 은행의 준수율은 평균 53.1%로 집계됐다.

이 중 시중은행 6곳의 평균 준수율은 51.6%로, 더 엄격한 제재 기준을 적용받은 지방은행(54.6%)에 못 미치는 실적을 보였다.

미준수 제재를 받지 않는 외국계 은행의 경우 전체 39곳 중 14곳이 지난 5년 내내 준수율이 0%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재 체감도는 은행마다 천차만별이었다. 한은이 비율을 못 맞춘 은행에 가할 수 있는 제재 수단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현재 한은은 ‘무역금융지원 프로그램’ 배정 한도에서 일정액을 차감하는 형식으로 제재를 가하고 있다. 무역금융 취급 규모가 작은 은행일 수록 중소기업 대출 의무 비율 미준수 제재 체감도도 낮아지는 셈이다.

홍성국 의원은 "중소기업 대출 장려 취지를 고려하면 강력한 제재만이 능사는 아니나, 제도 실효성과 형평성을 제고하기 위한 한은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