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 "대구경북신공항, 항공물류터미널 유치 전제로 합의"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09.22 15:48

주민집회 열어 대구시의 일방적 언론보도에 대한 입장문 발표

의성군 신공항 유치반대 결의

▲안국현 의성군수가 22일 경북도의회에서 대구경북신공항 화물터미널 배치에 대한 공식입장문을 발표하고 있다.

경북 의성군이 대구경북신공항 건설에 합의한 것은 항공산업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전제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의성군은 22일 오전 경상북도의회에서 의성군은 22일 10시 경상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최근 대구시가 발표한 신공항 화물터미널 관련 언론 보도에 대한 공식입장문을 발표했다.

다음은 입장문 전문이다.

◇대구 민군공항 이전에 따른 핵심 시설은 민항터미널과 영외관사였다.

이전부지 선정방식을 ‘주민숙의형’으로 채택하고, 주민투표 결과 비안·소보가 압도적 투표율과 찬성률로 이겼다. 그러나 군위군은 주민투표 결과에 불복하면서 민항터미널, 영외관사 등 핵심 인센티브를 모두 가져갔다.

◇의성군 공동합의문의 핵심은 ‘항공물류시설’이다.

군민들의 집단 반발에도 공항 이전이 무산되는 것보다 대구·경북의 미래를 위해 양보하며, 대승적 차원에서 항공산업(항공물류, 정비산업단지)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하나만 바라보고 공동합의문을 받아들였다.

화물터미널 없는 항공물류는 생각할 수 없으며, 국내외 물류공항 어디를 보더라도 화물터미널과 물류단지가 원거리에 배치된 곳이 없다는 사실을 수차례 건의 및 주장해왔다.

◇의성군민 무시·공동합의 정신 위배

의성군은 공동합의문에 "의성군과 합의해 추진한다"고 요구했으나 이마저도 ‘협의’로 수정해 받아들였다.

그러나 대구시는 지금까지 제대로 된 협의 없이 일방적 시설배치를 하고 발표했다. 이는 의성군민을 무시하는 처사이고 공동합의문 정신을 위배하는 것이다.

◇대구시는 상호 신뢰의 원칙을 무너뜨리고 있다.

의성군의 정책방향 설정을 위한 내부 검토과정에 있는 자료를 의성군의 사전 동의나 정식 절차 없이, 이를 대구시에 유리하게 언론에 활용하는 행위는 있을 수 없으며, 파렴치한 행위다.

◇대구시는 대구경북의 백년대계인 신공항을 정치 공항으로 만들려고 하는가?

신공항 유치반대 결의집회

▲의성군비안면 이주대책위원회와 주민들이 22일 경북도청에서 ‘신공항 유치반대 결의대회’를 열고 있다.

한편,같은 시간 경북도청에서는 의성군 비안면 이주지역대책위원회와 주민 200여 명이 ‘경북도의 역할부재 규탄 및 생존권 사수’를 위한 집회를 가졌다. 대책위는 "대구시의 협의 없는 일방적인 공항이전 추진과 경북도의 소극적인 태도와 무관심으로 군위군을 내주면서 민항터미널·화물터미널·영외관사 등 좋은 것은 다 빼앗기고 군공항 소음만 남고, 생계대책도 없이 뭘 먹고 사느냐"며 "이럴 려고 공항유치 한게 아니다"며 규탄했다.

집회에 참석한 주민들은 ‘빈껍데기 공항이전 반대’, ‘생존권 박탈하는 공항중지’ 등 현수막과 피켓을 들고, 희생하는 주민앞에 도지사는 도대체 지금껏 뭘했냐며 불만을 성토했다.

주민들은 북과 꽹가리를 치며, ‘의성군민 희생시켜 경북발전 의미 없다’, ‘미래 없는 의성군, 도지사는 책임져라!’ 등 구호를 외치며 도청에서 신도시 시가지까지 가두행진을 벌였다.

김선동 대책위원장은 "이주지역 주민들은 의성군 발전을 위해 공항이전을 찬성하고 꾹꾹 참아왔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좋은 것은 군위가 다 가져가고 약속했던 화물터미널도 없고 소음만 온다니 참담하다"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생계대책에 대해서 주민들에게 어떠한 구체적 설명도 없고, 철저히 소외당하고 있다."며, "이럴 거면 도지사는 앞장서서 공항이전 백지화하라. 우리는 정든 고향땅에서 살다가 죽겠다"며 강경한 입장을 밝혔다. 의성군 봉양면의 현장소통상담실도 지역여론 및 주민요구에 따라 무기한 운영 폐쇄를 대구시에 요청했다.

대책위는 앞으로 대구시를 상대로 대대적인 집회를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의성=에너지경제 정재우 기자jjw5802@ekn.kr





정재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