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추석연휴 막바지까지 '영수회담'으로 시끌…與 "새로운 방탄" 野 "민생 집중"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10.02 15:36
발언하는 김기현 대표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2일 강서구 공항동 모아타운 추진위원회에서 열린 김태우 강서구청장 후보 초청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여야가 추석 연휴 막바지까지 ‘영수회담’을 두고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민생 해결을 목표로 윤석열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제안하자 국민의힘에서는 ‘새로운 방탄 전략’이라며 공세를 벌였다.

단식 후 병상에서 회복 치료 중인 이 대표는 추석 당일인 지난달 29일 페이스북에 "윤석열 대통령님께 민생 영수회담을 제안드린다"며 "최소한 12월 정기국회 (종료) 때까지 정쟁을 멈추고 민생 해결에 몰두하자"고 밝혔다.

이에 국민의힘은 2일 ‘뜬금없는 영수회담을 제안할 때가 아니라 대장동 사건 재판에 충실히 임할 시간’이라고 비판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김태우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후보를 지원하기 위해 찾은 강서구 공항동 모아타운 추진위원회 사무실에서 기자들을 만나 "민주당 스스로 예전에 영수회담이라는 건 없다고 해놓고 갑자기 왜 구시대의 유물을 들고나왔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회는 여야 대표가 이끌어나가는 것"이라며 "국회 운영과 관련해 여야 대표가 만나 대화하자고 그간 여러 차례 제안했지만 묵묵부답이던 사람이 엉뚱한 데 가서 엉뚱한 말을 할 게 아니라 번지수를 제대로 찾아 여야 대표 회담으로 빨리 복귀하는 게 정상적인 수순이고 정치의 원리"라고 강조했다.

전주혜 원내대변인은 논평에서 "이 대표 사법 리스크는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라며 "지금은 뜬금없는 영수회담을 제안할 시간이 아니라 재판 당사자로서 재판에 충실히 임할 시간"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이 대표는 이런저런 꼼수로 재판을 요리조리 피할 궁리만 하지 말고 당당히 그리고 성실히 재판에 임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전날에는 강민국 수석대변인이 "아직 벗어나지 못한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집중된 여론을 희석하려는 얄팍한 속셈"이라며 "또 다른 방탄 전략임이 뻔히 보인다"고 논평을 통해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은 떼쓰기식 영수회담보다 여야 대표 회담을 통해 민생에 대해 치열히 논의할 적기"라고 촉구했다.



병상에서 보고 받는 이재명 대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달 28일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에서 조정식 사무총장으로부터 당의 서울 강서구청장 보궐선거 현황을 보고 받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도 반격에 나섰다.

민주당은 이 대표의 ‘영수회담’ 제안에 국민의힘이 부정적 반응을 보인 데 대해 "민생을 지키자는 제1야당 대표의 제안을 이렇게 비난해도 되나"라고 비판했다.

박성준 민주당 대변인은 2일 서면브리핑에서 "민심은 ‘정쟁을 멈추고 민생에 집중하라’,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민생을 살리라’고 명령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변인은 "야당 대표가 영수회담을 제안한 게 이렇게 모욕받을 일인가"라며 "정부·여당의 머릿속에는 오직 정쟁과 야당 탄압밖에 없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물가가 치솟고 세수는 사상 최대로 펑크가 나는 등 국민이 민생고로 고통받는데 정쟁을 계속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며 "경제가 망하든, 국민이 고통받든, 경쟁자만 제거하면 권력 유지의 길이 열릴 것이라 착각하나"라고 반문했다.

한편 이 대표는 추석 당일 영수회담을 제안하면서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조건 없이 만나 민생과 국정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할 수 있는 일들은 신속하게 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대통령님의 전향적인 결단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또 "민생 고통에 시달리는 국민들께서는 누가 더 잘하냐는 선의의 경쟁보다 민생을 외면한 채 상대를 부정하는 전쟁 같은 정치가 불안하고 불편하다"며 "민생의 핵심은 경제이고 경제는 심리다. 대통령과 야당이 머리를 맞대는 것만으로도 회복의 신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지난해 8월 당 대표 취임 당시와 올해 신년 기자회견 등에서 윤 대통령을 향해 거듭 영수회담을 제안했지만 결국 성사되지 않았다.


claudia@ekn.kr

오세영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