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금지에 '불장'왔지만..."MSCI 선진지수 편입 어려워져"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11.06 10:48

ㄴㄷㄴ.jpeg

▲6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가 표시돼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박성준 기자] 한국 증시에 상장된 모든 종목의 공매도가 내년 상반기 말까지 금지되자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에코프로, 포스코홀딩스 등에 매수세가 몰리면서 이차전지 관련주가 폭등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치가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 지수 편입에 걸림돌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앞서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5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공매도 전면 금지안을 발표했다. 이에 6일부터 내년 6월 말까지 국내 증시 전체 종목에 대한 공매도가 전면 금지된다. 코스피와 코스닥, 코넥스 전 종목에 해당한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 갖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팔았다가 주가가 내려가면 싸게 사서 갚아 이익을 내는 투자 기법이다.

자금력을 가진 외국인과 기관투자자들이 주로 활용하는데, 그동안 개인투자자들 사이에서 주가 하락의 주범으로 지목돼왔다.

그러나 5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공매도가 공정한 가격 형성을 저해하고 신뢰를 해친다고 당국이 주장하고 있지만 일각에서 이러한 금지조치가 시장을 덜 투명하게 만들 수 있다"며 "이에 투자 매력도가 떨어질 수 있다"고 보도했다.

유진투자증권의 허재환 애널리스트는 "금융위기가 없는 상황에서 당국이 공매도를 금지한 것은 이례적"이라고 지적했다. 

공매도 금지는 한국 증시가 MSCI 신흥국 지수에서 선진국 지수로 편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달마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개리 두건 최고투자책임자는 "(공매도 금지는) 한국 증시의 지위를 손상시켜 선진국 편입 달성을 방해할 것임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매도가 있었던 종목들의 주가가 단기적으로 급등할 수 있지만 증시 전반에 차지하는 공매도 비중이 적은 만큼 공매도 금지의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리서치 기업 스마트카르마의 브라이언 프레이타스 애널리스트도 "공매도 금지는 한국이 신흥시장 지수에서 선진국 지수로 이동할 가능성을 더 위태롭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프레이타스 애널리스트는 "공매도 금지가 과도한 밸류에이션에 제동장치 역할을 하지 못해 개인 투자자가 선호하는 일부 주식 종목에 거품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그동안 MSCI 선진국 지수 편입을 추진해왔지만, MSCI은 지난 6월 한국 증시를 ‘신흥 시장’(Emerging Market)으로 평가하면서 선진국 지수 편입을 위한 개선 조치가 완전히 이행되면 등급을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코스피는 공매도가 전면 금지된 첫날부터 단숨에 2400선을 넘어섰다. 이날 오전 11시 4분 현재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84% 오른 2460.06이다.

지수는 전장보다 1.33% 오른 2399.80으로 개장한 뒤 상승폭을 키웠다. 이로써 지난 달 19일 이후 12거래일 만에 2400선을 회복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53% 급등한 825.49이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9% 오른 794.49로 출발한 뒤 상승 폭을 키웠다.

코스닥 지수가 급등하자 이날 오전 9시 57분 56초께 코스닥150선물가격과 코스닥150지수의 변동으로 5분간 프로그램매수호가의 효력이 정지됐다. 코스닥 사이드카가 발동된 것은 지난 2020년 6월 16일 이후 약 3년 3개월만으로, 역대 12번째이다.

특히 이날 증시에서 이차전지 관련주가 폭등하고 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은 전거래일 대비 22.14% 올랐고 같은 시간 포스코퓨처엠(29.00%), POSCO홀딩스(18.26%), 삼성SDI(12.56%), LG화학(9.77%) 등 이차전지 관련주도 폭등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 에코프로와 하이드로리튬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했고 에코프로비엠(28.48%), 엘앤에프(23.90%), 포크소DX(17%) 등도 급등세다.
박성준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