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력적 디자인’ 앞세워 국내 시장서 순항···3·5·7·9 등 라인업 다양
‘SUV 열풍’ 판매 증가세 주춤···"새로운 기술 통해 분위기 반전"
![]() |
▲기아가 이달 초 출시한 ‘더 뉴 K5. |
21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2009년 11월 24일 준대형 세단 ‘K7’(현 K8)을 국내 시장에 출시했다. 차명은 기아(Kia)와 대한민국(Korea), 그리스어 ‘Kratos’에서 따왔다. Kratos는 ‘강함, 지배, 통치’ 등 의미를 지녔다.
기아는 2010년 중형 세단 K5, 2012년 준중형 세단 K3와 대형 세단 K9을 각각 선보였다. 이를 통해 현재까지 이어지는 K 시리즈 라인업을 모두 확보하게 됐다.
K 시리즈는 시대를 앞서가는 디자인을 지녔다는 평가를 받으며 승승장구했다. 출범 10주년인 2019년에는 국내 누적 판매 550만대를 돌파했다. 당시 팔렸던 기아 차량 5대 중 1대가 K 시리즈였을 정도다. 이후 2021년까지 3년 연속 최다 판매 기록을 새로 쓰며 인기를 끌었다.
하지만 최근 분위기는 좋지 않다.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열풍이 불면서 판매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올해 1~10월 판매를 보면 K3 1만430대(전년 동기 대비 -37.5%), K5 2만7233대(+5.9%), K8 3만5779대(-2.5%), K9 3439대(-35.9%)가 팔렸다. 같은 기간 기아의 전체 세단 판매(14만1413대)는 작년 대비 3.3% 줄었지만 SUV를 포함한 레저용차량(RV) 실적은 27만105대로 16.2% 뛰었다.
기아는 새로운 기술을 통해 분위기를 반전시킨다는 생각이다. 대부분 차량에 부분·완전변경 시기가 도래한 만큼 다양한 고객 선호 사양을 반영해 상품성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지난 2일 출시한 ‘더 뉴 K5’를 보면 회사의 이 같은 의지를 읽을 수 있다. 3세대 K5의 상품성 개선 모델이지만 디자인을 대폭 개선하고 첨단사양을 추가해 소비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기아는 신차에 디지털 키2, 빌트인캠 2, e-하이패스 등 고객 선호 사양을 대거 탑재했다. 또 트림을 재조정하고 가격을 2784만원부터(가솔린 2.0 기준) 책정해 ‘가성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아 관계자는 "K5는 끊임없는 혁신을 통해 강렬하고 감각적이며 새로움을 상징하는 세단으로 자리매김해 왔다"며 "고객의 일상을 영감의 순간으로 만들 것"이라고 자신했다.
![]() |
▲기아의 플래그십 세단 ‘더 뉴 K9’. |
업계 한 관계자는 "SUV 선호도가 높아지며 내수에서 준중형·대형 세단 수요가 빠르게 위축되는 모습"이라며 "K3와 K9 등 신모델은 확실히 전작과 차별화 해야 될 것"이라고 말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