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지는 지방·중소저축은행 부동산PF 부실 우려...부실채권비율 1년새 5배↑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3.12.25 10:55

중소형사 저축은행 47곳,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비율 6.5%



"부동산 관련 여신 건전성 지표 추가 상승 가능성"



금융당국, 내년부터 저축은행 여신 규제 강화

clip20231225103231

▲건설현장.(사진=에너지경제신문DB)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자산 1조원 미만인 중소형 저축은행과 지방 저축은행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들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년 6개월 만에 5배 급등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건전성 지표 악화에 대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내년부터 신규로 취급하는 토지담보대출에 대해서는 부동산 PF에 준해 취급하는 등 저축은행 여신 규제를 강화할 방침이다.

25일 한국신용평가가 발간한 ‘저축은행 업계 사각지대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저축은행 47곳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3.4%에서 올해 6월 말 6.8%까지 뛰었다. 이 기간 부동산업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3.2%에서 9.6%로 급등했다. 부동산PF는 1.3%에서 6.5%로 급등했고, 건설업은 2.7%에서 7%로 부동산 관련 여신에서 건전성 저하가 두드러졌다.

반면 부동산 관련 여신을 제외한 나머지 여신의 건전성 저하 폭은 2021년 말 4%에서 올해 6월 말 6%로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이들 저축은행의 요주의이하여신비율도 가파르게 올랐다. 부동산업의 요주의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24.6%에서 올해 6월 말 41.2%로, 부동산PF는 10.1%에서 51%로 급등했다. 건설업은 23.8%에서 34.3%로 뛰었다. 한신평은 "부동산 경기 저하, 높은 지방 사업장 비중, 열위한 시공사 신용도 등을 고려할 때 부동산 관련 여신의 건전성 지표는 추가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저축은행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저축은행 47곳의 고정이하여신비율 추이.(자료=한국신용평가)


분석 대상 저축은행 47개사는 대부분 중소형사인데다 지방 영업 비중이 높고,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 건설업 비중이 높아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는 저축은행에 비해 부동산 경기 악화나 지역 건설사 신용 리스크에 더욱 크게 노출됐다. 성장속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자본비율, 유동성 지표는 높게 나타나지만, 대주주의 지원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어 더욱 보수적인 자본비율 관리가 필요하다는 평가다.

실제 이들 저축은행의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 비중은 67.9%, 자기자본 대비 건설업 여신 비중은 50.4%, 자기자본 대비 부동산PF와 건설업 합산 비중은 118.3%였다. 부동산 경기 악화 등에 대한 양적 부담이 높은 것이다. 부동산PF 부담은 등급 보유 저축은행과 격차가 크지 않지만, 건설업/자기자본 비중이 등급 보유 저축은행 33.3%에 비해 약 17%포인트(p) 높았다. 한신평은 "저축은행 업권 평균적으로 브릿지론 : 부동산PF 비율이 약 1 대 1 수준인 점을 고려할 때 브릿지론이 상당 부분 포함될 것으로 추정되는 부동산업까지 감안할 경우 실제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한 영향은 이보다 상당히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건전성 지표 악화에 대해 현재까지는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내년부터 신규로 취급하는 토지담보대출에 대해서는 부동산 PF에 준해 분류하도록 규제를 강화하기로 했다.

저축은행업 감독규정에 따라 저축은행은 부동산 관련 여신은 총여신의 50%를, 부동산PF는 20%를 넘을 수 없다. 총 신용공여액의 20%까지만 부동산PF를 취급할 수 있는 것이다.

금융당국은 내년부터 해당 비율에 신규 토지담보대출도 포함하기로 했다. 여기에 대손충당금에 대해서는 기존 토지담보대출도 부동산PF 대출 수준으로 적립하도록 했다.

부동산 시장 악화에 따라 현재 신규 토지담보대출 취급은 감소했지만, 향후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면 부동산 PF 취급이 증가할 수 있는 만큼 금융당국이 선제적으로 조치한 것으로 해석된다.
나유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