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주담대 증가폭 2021년 수준...올해 더 늘어날까 ‘조마조마’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1.10 15:54

작년 은행 가계대출 37조·주담대 51.6조↑

주담대 증가폭 2021년 대비 5조 적은 데 그쳐



금리 인하 전망, 대환대출 인프라 변수

당국, 스트레스 DSR 도입 등으로 관리

은행

▲서울의 한 건물에 설치된 은행 현금자동입출금기(ATM) 모습. 연합뉴스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지난해 가계대출이 37조원 늘었다. 저금리로 대출이 급증하던 2021년 증가 폭의 절반 수준이다. 주택담보대출은 약 52조원이 늘어나며 2021년 수준까지 늘었다.

올해는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나오면서 시장금리가 떨어지고 있다.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 폭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당국은 스트레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도입 등으로 가계부채 관리에 고삐를 죈다는 계획이다.

1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095조원으로 전달 대비 3조1000억원 증가했다. 지난 4월부터 9개월 연속 늘었다. 지난해 10월부터 석 달 연속 증가 폭은 줄었으나 증가 기조는 이어졌다.

전세자금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850조4000억원으로 5조2000억원 커졌다. 지난해 10월과 11월 각각 5조7000억원 늘어난 것과 비교해 증가 폭이 5000억원 줄었다.

지난해 은행의 연간 가계대출은 37조원 늘었다. 전년 가계대출이 2조6000억원 줄었지만 1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바뀌었다. 저금리에 가계대출이 폭증(+71조8000억원) 했던 2021년과 비교해 절반 정도 규모가 늘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가 가팔랐다. 주택담보대출은 지난해 연간 51조6000억원 급증했다. 전년의 한 해 증가 폭(20조원)을 훌쩍 넘어섰고, 2021년(56조9000억원)과 거의 맞먹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올해는 기준금리 인하가 전망되며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한 가계대출 성장이 더 가팔라질 수 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기조가 사실상 마무리됐다는 예상이 나오면서 시장에서는 이르면 하반기부터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현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고정·변동금리에 따라 최저 3∼4%대까지 떨어진 상태다.

지난 9일부터 주택담보대출, 오는 31일부터 전세자금대출 대환대출 인프라가 시작되며 차주들의 대출 여력이 늘어날 수 있다는 점도 변수다. 주택·전세대출 대환대출 인프라의 경우 대환 시 한도 증액은 불가능하지만, 대환대출을 통해 금리를 낮춘 차주들이 여력이 생겨 추가 대출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낮추면서 여유가 생긴 차주들은 필요가 있다면 신용대출 등 추가 대출을 통해 필요자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축소 방침을 밝히고 있다. 올해 2월부터는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에 스트레스 DSR를 도입해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한다. 스트레스 DSR은 DSR 산정 시 가산금리(스트레스 금리)를 부과해 대출 가능액을 줄이는 효과를 낸다.

은행권은 올해 당국 방침에 따라 가계대출이 크게 늘어나지는 않을 것이라 예상하면서도 금리 인하 등으로 수요가 몰릴 수 있을 것이란 예상을 내놓는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기 때문에 무리하게 대출을 늘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지만,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주택담보대출 중심으로 수요가 늘어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dsk@ekn.kr
송두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