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3년 국내인구이동통계’ 발표…인구이동률은 51년만에 최저
![]() |
▲서울 시내 아파트와 주택. 연합뉴스 |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작년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옮긴 전국 이동자 수(전입신고 기준)는 612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0.4%(2만3000명) 줄었다.
이동자 수는 지난 2021년(-6.7%), 2022년(-14.7%)에 이어 3년째 전년 대비 줄고 있다. 특히 2022년에는 주택 시장 침체 영향으로 100만명이 넘게 감소한 바 있다.
이동자 수 규모는 지난 1974년 529만8000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왔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2.0%로 전년과 유사하지만 소수점 단위로 줄었다. 지난 1972년(11.0%) 이후 51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이다.
인구 이동이 감소하는 주된 원인은 고령화다.
실제 연령대별로 인구이동률을 살펴보면 20대(22.8%)와 30대(20.1%)에서 높고 60대 이상에서는 7% 이하로 낮다.
전년과 비교해도 60대(-0.4%p), 70대(-0.4%p), 80세 이상(-0.4%p) 순으로 감소했다.
30대(1.2%p), 10세 미만(1.2%p), 40대(0.2%p)에서는 늘었다.
관건은 20대다. 가장 인구이동률이 높지만 전년보다는 0.3%p 줄었다. 지난 2021년부터 3년째 낮아지고 있다.
전체 인구이동 사유를 보면 주택(34.0%), 가족(24.1%), 직업(22.8%) 순이다. 총 이동사유의 80%가량을 차지한다. 다른 사유로는 교육(5.7%), 주거환경(5.1%) 등이 있다.
![]() |
▲최근 3년간 인구이동 추이. |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곳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경기(4만5000명), 인천(3만4000명), 충남(1만6000명) 등 5개 시도다.
반대로 서울(-3만1000명), 경남(-1만6000명), 부산(-1만1000명) 등 12개 시도에서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출됐다.
서울은 지난 1990년부터 작년까지 34년째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다.
작년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 가운데 60.5%는 경기로 향했다. 서울뿐 아니라 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도 전출 1순위 지역이 서울이었다.
대구와 경북, 부산·울산·경남, 광주와 전남 등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시도 간의 전입·전출이 많았다.
권역별로 보면 수도권(서울·인천·경기)에 4만7000명이 순유입됐다. 전년보다 순유입이 1만명 증가했다. 수도권에는 지난 2017년(1만6000명)부터 7년째 인구가 순유입되고 있다.
월별로 작년 12월 인구 이동은 51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8%(1만4000명) 증가했다.
작년 이동자 수는 상반기에 줄고 하반기에 늘어나는 흐름을 보였다.
상반기에는 3월을 제외하고 1월(-8.4%), 2월(-6.3%), 4월(-5.6%), 5월(-4.9%), 6월(-0.8%) 모두 줄었다.
하반기 들어 주택 거래량이 회복되면서 이동자 수도 다시 늘기 시작했다. 7월(4.9%), 8월(3.8%)에 증가해 9월(-1.6%)에 잠시 줄었다가 10월(11.0%)부터 3개월 연속 증가세다.
작년 12월 인구이동률은 11.8%로 전년 동월 대비 0.3%p 증가했다.
인천(4233명), 경기(3512명), 충남(1426명) 등 5개 시도는 인구가 순유입됐다. 서울(-3817명), 광주(-1302명), 경남(-1162명) 등 12개 시도는 순유출됐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