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성과급 보수적 접근” 기조에 업계 긴장
업계 “은행권과 달라…보험업 특성 고려돼야”
국내 보험사들이 성과급 시즌을 맞이한 가운데 지급 규모를 두고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한 수준으로 성적이 좋았지만 금융당국이 과도한 성과급을 자제할 것을 권고하고 있어서다. 한편으론 손해보험사들이 이미 자동차 보험료를 낮추기로 결정했음에도 상생금융에 대한 부담이 여전해 안팎으로 감안할 요소가 많은 상황이다.
8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메리츠화재, 현대해상 등 주요 보험사들이 이달과 다음 달 중으로 성과급을 지급할 예정이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연봉의 60% 수준을 성과급으로 지급한 가운데 이달 지급하는 올해 성과급은 작년 수준과 비슷하거나 많게는 연봉의 100% 규모의 지급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연봉 40%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했던 DB손해보험도 올해 3월 말쯤 성과급 지급이 예정된 가운데 작년 수준의 성과급이 고려되고 있다. 현대해상도 3월 중 지급할 계획이나 지급 수준은 예년보다 적을 것이란 예상이다.
업계에서는 올해 일부 보험사들이 예년대비 높은 성과급을 취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보험업계는 지난해 3분기까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보험사 53곳의 지난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직전해인 2022년 같은 시기보다 47.2% 늘어난 11조4225억원으로 집계됐다.
실제로 지난달 말 성과급을 지급한 삼성화재는 임직원에게 연봉의 50% 수준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전년도 성과급은 연봉의 47% 수준으로 당시보다 소폭 오른 수준이다. 삼성생명도 직원들에게 전년(연봉의 23%)보다 오른 연봉의 29% 수준의 성과급을 지급했다. 삼성화재는 “손해율 관리와 사고 감소 등으로 손익이 증가해 이를 성과 보상 차원에서 분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금융당국이 금융권 전반에 대해 성과급에 보수적으로 접근하라는 기조를 강조하고 있어 보험사들로선 다소 불편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16일에도 금감원은 보험사 최고재무책임자(CFO)들과 비공개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과도한 성과급과 배당에 유의해야 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지난해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이 첫 도입된 이후 실적에서 큰 변화를 겪은 만큼 제도 안착까지 선제적으로 변동성을 유의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금감원의 이 같은 권고에 은행권도 성과급을 낮춰잡았다. 은행권은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음에도 성과급 규모를 지난해 월 기본급의 300% 수준에서 200% 수준으로 줄였다. 임금인상률은 지난해 3.0%에서 올해 2.0%로 낮췄다.
상생금융과 관련한 압박도 여전하다. 자동차 보험료를 내렸지만 총선 전까지 금융권에 가해지는 상생금융에 대한 분위기가 사그러들지 않을 것이란 게 업계 중론이다. 보험사들은 실적이 많이 올랐을 경우 추가적인 상생금융 압박이 내려올 수 있어 여러모로 눈치를 보며 분위기를 살피고 있다는 입장이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분위기가 좋지 않아 성과급 지급률은 확정이 안된 상황이다. 여러 요소를 감안하는 등 고민 중인 것으로 안다"며 “자동차 보험료 3%뿐만이 아니라 이륜차도 10% 추가상생안으로 내는 것을 추진 중이다"고 말했다.
업계 일각에선 금리상 예대마진으로 실적을 낸 은행권과는 다른 부분이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성과급 규모는 사내 재원 범위도 고려하고 보험업무 특성 등을 감안해 결정되는데 이익 분배 문제에 당국 입김이 너무 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면서도 “이번에 나타낸 최대 실적에는 회계제도 변경의 효과가 있었던 만큼 성과급에 대해 당국 눈치를 살피는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