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제가격 하락 근거 물가안정 협조 요청에
일부 대기업 소비자용 밀가루·식용유 가격 내려
동조 대신 추가인상 않고 서민 부담 최소화 대응
“인건비등 부대비용 비중 높아 당장 인하 힘들어”
오는 10일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먹거리 물가 안정'을 명분으로 '제품가격 인하'의 고삐를 죄자 식품업계가 가시방석에 앉은 모습이다.
CJ제일제당·삼양사 등 주요 제분사들이 사실상 백기를 든 가운데 라면·제과·제빵 등 식품 제조사들은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가격인하에 동참해야 할 지 눈치를 보고 있다.
업체별 가격인하 목록
1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4월부터 중력분 1㎏, 2.5㎏ 제품과 부침용 밀가루 3㎏ 제품 등 일반 소비자 판매용(B2C) 밀가루 3종 가격을 평균 6.6% 인하한다. 중력분·부침용 밀가루는 가정용 B2C 판매물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지만,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가격을 내린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삼양사·대한제분 등 경쟁업체들도 일제히 가격 인하에 나섰다. 1일부터 삼양사는 소비자용 중력분 1㎏, 3㎏밀가루 가격을 6%대 내린다. 대한제분도 소비자 판매용 1㎏, 2㎏, 2.5㎏, 3㎏ 4종 밀가루 값을 내리기로 했으나 인하율은 공개하지 않았다.
주요 제분사를 시작으로 가격 인하 움직임이 조성된 이유는 정부의 물가안정 압박 때문이다.
지난 13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주요 식품기업 19개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고 물가안정에 협조할 것을 당부했다. 당시 한훈 차관은 “주요 곡물과 유지(油脂)류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가공식품 가격이 높게 유지되는 것에 대해 기업의 과도한 이윤 추구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 밀·유지류 시세가 떨어진 만큼 판매가에 반영하라는 간접적 주문으로 사실상 가격 하향조정을 요구한 것이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가 발표한 곡물 가격지수는 올해 2월 113.8로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인 2022년 3월(170.1)보다 33.1% 떨어졌다. 유지류 가격지수는 2022년 3월 251.8로 고점을 찍은 뒤 올 2월 120.9로 떨어졌다.
정부 압박의 직접적 영향인지 모르나 오뚜기도 이달부터 식용유 제품 값을 평균 5% 내리기로 결정해 다른 유지류 제조사의 동조 여부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처럼 일부 주요 식품기업의 밀가루·유지류 제품 가격 인하에 해당제품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빵·라면·과자 가공식품 제조사들도 업계 분위기와 여론을 살피는 분위기다.
다만, 즉각적인 가격인하보다는 정부의 물가안정 취지에 공감해 연내 가격인상 계획이 없다고 선을 긋고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접근하고 있다.
실제로 신동원 농심그룹 회장은 지난달 22일 정기 주주총회에서 “올해 라면 가격을 인상할 생각은 갖고 있지 않다"고 밝혔고, 이승준 오리온 대표 역시 최근 주총에서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동참해 올해 가격 인상 계획은 없다"고 강조했다.
업계 일부에선 원재료인 밀가루 가격이 내려가도 소매용에 국한되고, 판매가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비용의 증가 탓에 '사실상 가격 인하가 어렵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식품회사 관계자는 “밀가루 가격이 내려도 지금은 소매제품만 인하한 것이지 B2B 가격은 그대로다"라면서 “B2B 제품 값을 내려도 통상 재료 거래 주기가 3~6개월이라 판매가에 즉각 반영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또다른 식품업계 관계자도 “취급하는 제품 종류만 수백 개인데, 제품마다 재료 배합도 다르고 밀가루 비중이 낮은 것도 있다"면서 “식품 원재료뿐만 아니라 소비자가격 책정엔 인건비 등 부대비용 비중도 높기 때문에 현재로선 가격 인하가 힘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