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보린’ 삼진제약, AI 신약개발 경쟁력 높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4.18 17:02

과기부 ‘AI 혁신신약 발굴사업’ 주관, 대구 ‘K-메디허브’와 협업
AI 바이오텍·대학과 오픈이노베이션…파이프라인 28개 ‘최상위’
영업익 감소에도 R&D 투자 지속…2~3년내 기술수출 성과 기대

삼진제약

▲삼진제약 본사 전경

진통제 '게보린'으로 잘 알려진 중견제약사 삼진제약이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제약업계에서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협업)에 가장 적극적인 제약사의 하나로 손꼽히는 만큼 향후 성과의 기대감도 커기 때문이다.


18일 삼진제약에 따르면, 지난 16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K-메디허브)과 신규 면역항암제 발굴 및 신약개발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은 삼진제약이 주관기관을 맡고 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활용 혁신신약 발굴사업'의 성과를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K-메디허브는 이 사업의 운영기관을 맡아 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앞서 지난해 5월 서울아산병원, AI 신약개발 벤처기업 인세리브로, 임상 영상 플랫폼 벤처기업 트라이얼인포매틱스와 공동으로 이 사업에 선정된 삼진제약은 향후 4년간 정부출연금 57억원을 지원받아 AI 기반 혁신 면역항암제 개발을 진행한다.




사업 총괄을 맡은 삼진제약의 신약개발 경험에 인세리브로의 양자역학 기반 AI 신약개발 기술, 트라이얼인포매틱스의 디지털전환 기술을 결합해 신약개발 성과를 거둔 방침이다.


특히, K-메디허브는 보건복지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후보물질 개발단계에서 세계수준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어 이번 업무협약 체결로 삼진제약의 AI 기반 신약개발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정부도 17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함께 AI를 활용한 빠른 신약개발을 지원하는 '연합학습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K-멜로디) 사업단' 개소식을 개최하는 등 AI 기반 신약개발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삼진제약은 국내 제약업계에서 가장 활발한 오픈 이노베이션 활동을 하고 있고 덕분에 중견제약사임에도 대형 제약사만큼 많은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삼진제약은 지난해 말 기준 항암, 당뇨, 비알콜성지방간염(NASH) 등 28개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세리브로, 스탠다임,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 AI 전문성을 갖춘 바이오텍·대학과의 공동개발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상위 5대 제약사가 각각 25~35개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운영하고 있는 것에 맞먹는다.


삼진제약은 지난해 전체 매출 2921억원으로 전년대비 6.6% 늘었지만 매출원가 상승 및 R&D 투자 증가 등으로 영업이익은 205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11.6% 줄었다.


그럼에도 지난해에만 매출의 12.1%인 354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지출했고 올해 2월에도 AI 기반 뇌질환 영상 솔루션 벤처기업 '뉴로핏'에 10억원을 전략 투자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업계는 올해들어 기존 조의환·최승주 공동창업주 동업체제에서 2세들의 동업 승계경영으로 본격 전환되고 있는 삼진제약이 R&D 투자를 지속하며 기술수출, 블록버스터 신약 출시 등 성과를 낼지 주목하고 있다.


삼진제약 관계자는 “삼진제약은 업계 최고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서울 마곡 연구센터를 필두로 국내외 기관들과 전방위적인 오픈이노베이션 및 신약개발 교류를 활발히 추진 중"이라며 “풍부한 연구개발 인프라를 활용해 K-메디허브 등과 성공적인 협업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