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약품, 혁신신약 엔진 달고 ‘수익 반등’ 시동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4.21 15:07

미에로화이바·마이녹실 음료·화장품 성장 매출 2천억 기대

R&D 투자 수익 저하 불구 3세경영 이상준 대표 ‘신약 열정’

당뇨신약 선택과 집중, 임상2상 돌입 ‘제약 정체성’ 재확립

현대약품

▲이상준 현대약품 대표가 지난 2월 29일 열린 현대약품 주주총회에서 발언하는 모습. 사진=현대약품

식이성 섬유음료 '미에로화이바', 탈모 치료제 '마이녹실' 등 일반의약품·식품·화장품 의존도가 높은 현대약품이 올해 첫 매출 2000억원 돌파와 신약 개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노린다.




21일 현대약품에 따르면, 현대약품은 올해 1분기 매출 428억원, 영업이익 12억원을 올렸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10.0%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50.0%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전체 매출은 1808억원으로 전년대비 11.1% 증가했다. 이러한 추세라면 올해 전체 매출은 2000억원을 상회해 창사 이래 첫 매출 2000억원대 제약사 등극이 기대된다.



지난 1965년 설립돼 내년 창립 60주년을 맞는 현대약품은 현대물파스, 마이녹실, 미에로화이바 등 일반의약품과 식품을 주력으로 성장해 왔다.


1969년 출시한 현대물파스와 이를 계승한 '버물리', 1989년 출시한 미에로화이바와 '헬씨올리고', 탈모 치료제 마이녹실 등으로 매출 규모에 비해 높은 대중적 인지도를 쌓아왔다.




마이녹실과 미에로화이바 등을 합친 제품의 매출 비중은 지난해 61.9%에서 올해 1분기 64.1%로 높아졌다.


또한 2021년 출시한 펩타이드 성분 기능성 화장품 브랜드 '랩클'과 건강기능식품 '365meal'도 식품·화장품 매출비중을 출시 전인 2020년보다 10%P 가까이 높이면서 매출효자로 성장했다.


현대약품은 두피관리 성분을 함유한 탈모치료제, 비건족을 겨냥한 비건 화장품, 탈모샴푸 마이녹셀 등 제품군을 확대하는데 이어 지난 17일 모든 식품·화장품을 한 곳에서 쇼핑할 수 있는 '현대약품 통합몰'을 오픈해 주력사업인 식품·화장품의 매출 극대화를 꾀하고 있다.


그러나 식품 또는 화장품 비중이 높은 제약사의 공통된 고민인 '낮은 수익성'은 현대약품이 해결해야 할 과제다.


현대약품은 지난해 전체 영업이익이 69억원으로 전년대비 15.9% 줄어든데 이어 올해 1분기도 12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절반으로 줄었다.


이는 경쟁이 치열한 식품·화장품 사업의 마케팅 등 판매관리비가 증가한 영향도 있지만 특히 창업주 3세 이상준 현대약품 대표이사 사장이 주도하는 신약개발 연구개발비 증가가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현대약품 연구개발비는 지난해 122억원으로 전년대비 45.2% 증가한데 이어 올해 1분기도 26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44.4%나 늘었다. 회사 전체 영업이익보다 R&D 투자비가 2배나 많은 셈이다.


영업이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의약품·식품보다 자체 신약을 개발해야 하지만 신약 1개 개발에 수천억원이 소요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연간 영업이익이 100억원도 안되는 현대약품으로서는 딜레마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현대약품은 식품·화장품 매출 극대화를 꾀하는 동시에 신약개발 1개에 주력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현재 현대약품은 개량신약 4건을 제외하면 임상단계에 있는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은 사실상 1건 운영하고 있다.


이 혁신신약 파이프라인은 새로운 기전의 2형 당뇨 신약 'HDNO-1605'로,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임상 2상 계획을 승인받아 임상을 진행 중이다.


업계는 지난 2021년부터 오너 3세 단독대표 체제를 맡아온 이상준 대표가 취임후 노사 갈등, 회계처리기준 위반, 미녹시딜 포장용기 라벨오류, 치매 신약 임상실패 등 악재를 겪어 왔지만 매출성장과 흑자전환 등 실적을 개선시켜 왔고 10여년간 연구해 온 당뇨 신약이 임상 2상에 돌입한 만큼 신약개발 제약사로 거듭날지 주목하고 있다.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