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최근 서비스업 설비투자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
지난 10년간 우리 서비스업 설비투자는 전체의 39.4%로 제조업 설비투자 비중(53.6%)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G7 국가 모두가 제조업보다 서비스업 투자 비중이 월등히 높은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25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최근 서비스업 설비투자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 서비스업 설비투자는 총 639조1000원 규모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전체 설비투자는 총 1621조7000억원 수준이었다. 동기간 우리나라 전체 설비투자의 절반 이상(53.6%)은 제조업(총 869조8000억원)에서 이뤄졌다.
이러한 우리 서비스업 설비투자 비중은 G7 국가들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10년간 전체 설비투자 대비 서비스업 설비투자 비중은 우리(39.4%)가 영국(75.0%), 미국(70.2%), 독일(63.3%) 등 모든 G7 국가보다 월등히 낮았다.
특히 G7 국가들은 모두 제조업보다 서비스업 설비투자가 월등히 높게 나타난 반면 우리나라는 제조업에서 설비투자가 더 많이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제조업 설비투자 대비 서비스업 설비투자 비율 역시 우리(73.5%)가 모든 G7 국가보다 낮게 나타났다.
우리 서비스업 설비투자는 항공여객, 화물운송 같은 운수업(전체 설비투자 대비 10.3%)에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이하 '공공행정')(9.5%), 정보통신업(5.8%), 도소매·숙박음식업(3.3%), 사업서비스업(3.1%) 순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에서 설비투자가 많이 이뤄진 상위 6개 서비스 업종 중 도소매·숙박음식업(3.3%), 법무·회계·과학기술 같은 사업서비스업(3.1%), 의료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7%)은 모든 G7 국가보다 비중이 낮았다.
이승용 경총 경제분석팀장은 “우리 서비스업 설비투자가 부진한 것은 과거 제조업 중심의 성장 전략에 따른 영향도 있겠으나, 경쟁국에 비해 내수시장이 협소하고 서비스업에 대한 규제도 강해 적극적으로 투자를 유인하기 어려운 환경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미래 성장 가능성도 높은 서비스산업에 대한 투자 촉진과 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규제 완화, 기업 지원 등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