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분 통매각보단 ‘일부 매각’이 유력…네이버 핵심 사업 주도권 지켜야
안팎으로 불안감 고조…대통령실 “국민·기업 이익 최우선 고려할 것”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가 라인야후의 모회사인 A홀딩스의 지분을 놓고 협상 중인 가운데 네이버가 A홀딩스의 지분을 매각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네이버가 라인야후 경영 주도권을 상실할 경우 글로벌 사업 전략 및 구조 재편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3일 플랫폼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A홀딩스 지분 매각을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소프트뱅크와 협상을 진행 중이다. A홀딩스는 라인과 야후재팬 등을 서비스하는 상장사 라인야후의 최대주주(64.5%)다. 양사는 A홀딩스의 주식을 각각 50%씩 보유하고 있는데, 네이버가 A홀딩스의 주식을 단 1주라도 뺏기면 라인야후에 대한 경영 주도권이 소프트뱅크로 넘어가는 구조다. 이에 따라 향후 네이버의 대응에 업계 관심이 쏠린다.
네이버의 선택지는 크게 지분 전량 또는 일부 매각, 현상 유지 등이 있다. 이중 가장 유력하게 거론되는 시나리오는 지분 매각이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라인야후 간 사업 협력이 많지 않았던 데다가 이미 2020년 3분기 실적부터 라인의 매출을 제외하고 있어 실익에 미치는 영향력이 미미하기 때문이다. 라인야후의 시가총액은 13일 기준 한화 약 24조3000억원으로, 지분 매각율에 따라 최소 10조원을 확보할 수 있다.
네이버가 지분을 전량 매각하고 인공지능(AI)과 같은 미래 먹거리에 투자하는 방안이 있지만, 소프트뱅크의 자금 조달력을 감안하면 실현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네이버가 보유한 지분을 소프트뱅크가 전부 인수하기에는 재무적 부담이 클 것"이라며 “일본 이외에 대만, 태국 사업과 라인망가, 네이버제트 등 다양한 사업이 연결돼 있기 때문에 전체 매각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네이버가 A홀딩스의 지분을 일부 매각하고 2대 주주로 내려올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소프트뱅크와 협력 관계는 유지하면서 자사주 매입이나 배당, 추가 인수합병(M&A)과 같은 필요한 사업만 맡는 것이다. 다만 이 경우 라인을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 영향력을 확대하려던 네이버의 전략에도 대대적인 변화가 필요할 전망이다.
라인은 일본과 대만, 태국 등 다수의 국가에서 점유율을 확보해 2억 명 이상의 이용자를 보유한 메신저다. 네이버는 라인을 중심으로 간편결제, 배달, 웹툰 등과 연계해 동남아 시장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문제는 지배구조다. 라인야후가 100% 지분을 보유한 Z인터미디어트(前 라인코퍼레이션)는 태국, 대만,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라인플러스를 완전 자회사로 두고 있다. 라인플러스는 동남아를 비롯해 미국, 중국 등에 현지 사업체를 두고 해외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라인야후 경영 주도권을 잃을 경우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 및 영향력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임희석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이 현실화될 경우 지분법 이익 감소에 따른 2024~2025년 순이익 하향이 불가피하다. 라인을 기반으로 한 일본, 동남아로의 글로벌 확장 스토리도 힘을 잃을 수 밖에 없다"며 “지분 전량 매각 시나리오를 가정하면 2025년 지배주주 순이익 기준 15~20% 수준의 하향이 이어질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이번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 네이버 안팎으로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네이버 노동조합인 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네이버지회는 13일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정부의 강력 대응을 촉구했다.
네이버 노조 관계자는 “지난 10일 온라인 간담회에 참가한 300여 명의 직원도 애정을 쏟아 왔던 서비스와 구성원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표출했다"며 “라인 계열 구성원과 이들이 축적한 기술과 노하우에 대한 보호가 최우선이며, 이들을 보호하는 최선의 선택은 지분 매각을 하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가도 요동치고 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 기준 네이버의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2.39% 하락한 18만 4100원에 거래 중이다. 일본 정부의 라인야후 지분 매각 압박에 대한 주주들의 불안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용자들 사이에서 '라인 지키기' 여론이 확산되면서 포털 검색량과 신규 앱 설치도 급증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4월 다섯째주(4월 29일~5월 5일) 라인 앱 신규 설치 건수는 5만 8346건으로 전주(5만 6373건)보다 3.5% 증가했다. '카카오톡 먹통 사태'가 발생한 2022년 10월 16일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이에 대해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13일 현안 브리핑을 통해 “네이버와 계속 소통해 왔고, 네이버가 가장 원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국민·기업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모든 지원을 다할 것"이라며 “혹시라도 불리한 점이 있을 수 있는 점에 대해서 일본과 확인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 자체를 반일 정치적 이슈로 가져가는 것은 우리 기업이 의사결정을 하는데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정치권의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때"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