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한·일·중 경제협력 등에 관한 설문조사’ 실시
한·일·중 기업들은 경제적 상호 이익 도모와 동북아 평화를 위해 3국간 관계 개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과 중국 기업들은 우선 협력 대상국으로 모두 한국 기업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제인협회는 한·일·중 정상회의를 앞두고 3국의 매출액 1000대 제조기업(2022년 기준, 韓 100개사, 日 107개사, 中 111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한·일·중 경제협력 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한경협에 따르면 상대국 기업과의 협력의향을 묻는 질문에서 일본과 중국 기업들은 한국 기업과의 협력의사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10점 척도를 기준으로 상대국 기업과의 협력 의향을 조사한 결과 △일본 기업은 중국 기업(평균 4.7점, 이하 '평균')보다 한국 기업(5.2점)을 △중국 기업 역시 일본 기업(6.5점)보다 한국 기업(7.1점)과의 협력을 선호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 기업은 양국 기업간 협력의향이 비슷한 수준(일본 기업 6.3점, 중국 기업 6.1점)으로 조사됐다.
3국 간 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해서는 한국 기업 75.0%, 일본 기업 46.7%, 중국 기업 45.0% 순으로 한국 기업들이 가장 적극적이었다.
관계 개선이 필요한 주요 이유로 한국 기업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49.3%)와 △공급망 안정(26.7%)을 꼽았다. 반면 중국 및 일본 기업의 경우 △동북아 안보 및 평화(日 40.0%, 中 44.0%)가 △기술 협력 등을 통한 경제적 이익 확대(日 32.0%, 中 30.0%)보다 응답 비중이 높았다.
상대국 기업과 협력을 희망하는 분야를 묻는 질문에서, 일본 기업의 경우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25.5%)를 1순위로 택했다. 2순위는 △원자력·수소·신재생 에너지 분야(17.0%)였다.
한국과 중국 기업은 안정적 전력공급 및 기후변화와 관련된 △원자력·수소·신재생에너지(韓 25.2%, 中 23.9%)를 1순위로 응답했다. △반도체 및 첨단소재 분야(韓 22.3%, 中 19.8%)가 뒤를 이었다.
세계적 추세인 3고(고금리·고환율·고물가)에 따른 △원자재 가격 불안정은 한국과 일본 기업들의 가장 큰 현안(韓 38.0%, 日 35.0%)으로 지적됐다. 중국 기업들은 △국내경기 침체로 인한 경제 성장동력 약화를 최대 경제현안(42.3%)으로 꼽았다.
한국과 중국 기업은 △세계 경제 저성장에 따른 수요감소를 수출리스크 1순위(韓 34.0%, 中 29.7%)라고 우려했다. 일본 기업은 △공급망 불안정(30.8%, 1순위) 때문에 수출이 불투명하다고 답했다.
3국 기업 모두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로 인한 노동인력 감소에 대해 심각하다고 인식했다(韓 81.0%, 日 77.6%, 中 62.2%). 5~10년 뒤 핵심 노동인력이 부족(韓 34.0%, 日 45.8%, 中 38.7%)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3국 기업들은 출산 및 육아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육아휴직 제도(韓 54.0%, 日 51.7%, 中 33.1%) △탄력·유연근무제 시행(韓 25.3%, 日 25.9%, 中 25.0%) 및 △출산·육아 지원금 지급(韓 14.7%, 日 11.9%, 中 27.0%) 등을 들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한·일·중은 주요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많은 기업들을 보유한 국가들로 관계 개선시 기술 협력 등을 통한 시너지 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며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3국 경제계간 협력이 강화돼 동북아 번영의 토대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