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경제 이끈 건설업, 3대 악재 속 쇠퇴…대혁신 필요”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7.17 14:57

[기획]위기의 건설업 바꿔야 산다 ①

각종 경영 지표 약화 폐업 건설사 속출

3고(금리, 물가, 환율), 3저(생산성, 기술, 수익성), 3불(부정, 불신, 부실) 등 3대 악재

건설업 쇠퇴기 진입, 선제적인 조치와 대혁신 필요

건설업계 위기 극복을 위해 선제적인 조치와 건설산업 전체의 대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픽사베이

▲건설업계 위기 극복을 위해 선제적인 조치와 건설산업 전체의 대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사진=픽사베이


편집자 주 : K-건설은 지난 100년간 한국 경제가 기적과 같은 발전을 이룩하는 과정에서 주택 공급·사회 인프라 구축 등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왔다. 하지만 최근 복합적인 위기에 빠지면서 '대대적인 혁신'이 없다면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10회에 걸쳐 건설업이 처한 위기와 해법을 살펴 본다.


“바꾸지 않으면 다 죽는다." 최근 국내 건설업계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위기, 고금리·비용 상승 등 대내외적 환경 변화와 각종 악재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위기의 근본을 해결하기 위해선 기술 혁신과 생산성 제고, 디지털화와 기술 인력 양성 등 적극적인 혁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국내 건설업체들은 최근들어 경기침체, 생산성 감소, 수요 변화 등으로 수익성과 안정성 지표들이 모두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실제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이 지난달 발표한 '2023년 건설업 기업경영분석'을 보면 지난해 건설업의 '성장성 지표'인 건설업 매출액증가율은 4.76%를 기록해 지난 2022년 기록인 15.04%보다 10.28%포인트(p) 하락한 수치를 보여 성장성이 크게 둔화됐다. 건설업 총자산증가율 또한 7.99%를 기록해 2022년 대비 2.90%p 하락했다.


고금리·자잿값 인상·인건비 상승 등 비용이 늘어나고 미분양도 증가하면서 수익성도 떨어졌다. 지난해 건설업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3.42%로, 재작년 기록인 5.45%보다 2.03%p 하락했다. 매출액영업이익률 또한 3.04%를 기록해 2022년보다 1.74%p 낮아졌다. 지난 2023년 고금리 영향의 여파로 지난해 건설업 이자보상비율(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것)은 197.63%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1년 634.26%, 2022년 462.49%에 이어 가파른 하락세를 보인 것이다. 안정성 역시 하락했다. 지난해 건설업 유동비율은 150.46%로, 2022년과 비교했을 때 5.04% 하락했으며, 차입금의존도는 0.56% 상승한 26.43%를 기록했다.



이러자 문 닫는 건설사들도 늘어나고 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KISCON)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종합건설사 폐업 신고는 총 240건으로 전년 동기(173건) 대비 38.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사 폐업 신고도 1021건에서 1088건으로 6.56% 증가했다. 반면 신규 등록하는 건설사는 줄고 있다. 올 상반기 종합건설사 신규 등록은 238건으로 전년 동기(551건) 대비 56.8% 감소했다. 다만 전문건설사 신규 등록은 지난해 2512건에서 올해 2738건으로 8.99% 증가했다.


대형 건설사 역시 상황이 어렵긴 마찬가지다. 대형 건설사들은 급여 삭감은 물론 인원 감축, 마케팅 비용 축소 등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일례로 대우건설은 최근 본사 직원들을 대상으로 최대 2개월 유급 휴직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한화 건설부문은 2월부터 임원과 팀장급 이상의 직급 수당 30%를 삭감했고 법인 카드 사용 제한, 출장 자제 등의 지침도 내렸다. 포스코이앤씨는 임원들이 임금의 10~15%를 자진 반납하고 있다.




이복남 서울대 건설환경종합연구소 교수는 “국내 건설은 3고(금리, 물가, 환율), 3저(생산성, 기술, 수익성), 3불(부정, 불신, 부실) 등 3대 악재로 큰 위기에 빠졌다"며 “건설산업의 위기가 지속되면 산업 전체 부실과 한국 경제의 성장을 저해하는 문제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일각에선 건설업이 쇠퇴기에 진입했다는 부정적인 전망마저 나온다. 전문가들은 위기 극복을 위해 선제적인 조치와 건설산업 전체의 대혁신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건정연) 연구위원은 최근 '건설산업 반등 가능한 경기 하락인가? 쇠퇴기로의 진입인가?' 보고서에서 “진입장벽이 낮고 다수 업체 보유가 입찰에 유리한 건설산업은 계속적으로 업체 숫자가 오르는 추세를 나타냈으나 올 들어 종합건설업은 등록업체 숫자보다 폐업 신고가 커 업체 숫자 하락이 예상된다"며 “장기적으로 봤을 때 건설산업의 생애주기가 성숙기를 지나 쇠퇴기로 진입하는 전조 현상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쇠퇴기로 진입한다고 해도 경기의 등락을 반복하며 완만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기적으로는 건설경기 부양, 장기적으로는 산업전환을 대비하는 선제적이고 현명한 대책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용석 건산연 선임연구위원도 “부동산 경기 침체와 자재 및 인건비 상승 등이 겉으로 보이는 문제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생산성 저하와 인력의 양적·질적 저하. 더딘 기술혁신·디지털화, 대내외의 수요변화에 대한 대응 미흡이 위기의 본질"이라며 “당면 현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새로운 수요 변화에 발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혁신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발 빠른 대응을 위해 건설산업 전반의 혁신적인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현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