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사진=로이터/연합)
최근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들이 좋게 나오면서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식은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지만 비트코인 시세는 맥을 못추고 있어 관심이 쏠린다.
가상화폐 시세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16일 한국시간 오전 9시 23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2.11% 하락한 5만7613달러를 기록 중이다.
이날 새벽에는 5만6000달러대까지 내려가기도 했다. 비트코인이 5만7000달러선 아래로 내려간 적은 지난 8일 이후 약 1주일 만이다.
미국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을 밑돌자 비트코인은 6만2000달러 돌파를 넘보고 있었다. 그러나 지난 14일 미국 7월 헤드라인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2021년 3월 이후 처음으로 2%대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자 비트코인은 단숨에 6만달러선이 붕괴됐다.
이후 5만7000달러대에서 불안하게 거래되던 비트코인은 간밤 7월 미국의 소매판매가 예상을 넘는 수준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상승세를 탔다.
이어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하며 6만 달러선 회복을 눈앞에 뒀으나, 이후 또다시 급락하면서 5만7000달러대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지난 5일에는 미국의 경기 침체 우려로 비트코인이 6개월 만에 5만 달러선 밑으로 떨어지는 등 최근 불안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같은 시간 시총 2위 이더리움은 3.04% 하락한 2577달러를 보이고 있고 솔라나(-1.13%), 리플(-1.48%), 톤코인(-3.99%), 도지코인(-2.07%), 카르다노(-3.55%) 등 주요 알트코인 시세도 하락세다.
가상화폐의 하락은 15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S&P 500과 나스닥 지수 등이 각각 1.5%와 2.2% 안팎의 높은 상승을 기록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날 테슬라 주가는 전날보다 6.34% 상승했고 엔비디아 주가는 4.05% 오르면서 지난 5일 하락폭을 모두 만회했다. 특히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까지 4일 연속 상승해 종가 기준 120달러선을 회복한 것은 물론, 시가총액(3조220억달러)도 3조 달러를 회복했다.
최근 비교적 하락폭이 컸던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4.40%)을 비롯해 시총 1, 2위인 애플(1.35%)과 마이크로소프트(1.18%) 등 주요 빅테크 주가도 상승했다.
코인 전문 매체 크립토 데일리는 “최근 비트코인 가격은 그동안 성장을 이끌었던 주요 추세선 아래로 떨어졌다"며 “이런 하락은 분석가들 사이에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으며 5만3000∼5만5000 달러를 테스트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