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사들인 정신아 카카오 대표…주가 회복 ‘안간힘’에도 투자자 시큰둥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8.18 09:48

주가 부양 위해 1억원 규모 자사주 매입…올 들어 두 번째

자사주 매입 카드에도 투자자 반응 냉담…주가 요지부동

창업주 사법리스크·카카오페이 개인정보 유출 여파 커

증권사 일제히 목표가 하향…투자의견 ‘중립’ 의견 나와

정신아 카카오 대표

▲정신아 카카오 대표이사가 지난 6월11일 경기도 안산시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내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에서 열린 '프레스 밋업' 행사에서 질문에 답하고 있다. 카카오

한때 '국민주'로 통했던 카카오가 사법리스크와 고객 개인정보 유출 논란 등 연이은 악재로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았다. 구원투수로 나선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자사주를 매입하면서 주가 부양을 위해 전력투구하고 있지만 이미 무너진 투자자의 신뢰를 회복하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을 보면 정 대표는 지난 12일과 13일 양일간 장내 매수로 카카오 보통주 2773주를 취득했다. 취득단가는 12일과 13일 각각 3만7000원과 3만7100원으로 총 매수 금액은 1억원 규모다.


정 대표가 지난 3월 대표이사 취임 후 자사주를 매입한 건 지난 5월에 이어 두 번째다. 정 대표는 지난 5월 주주서한 통해 “대표이사로 재직하는 동안 매년 두 차례에 걸쳐 각 1억원씩, 매년 총 2억원의 자사주를 매입하겠다"며 “매년 2월과 8월 실적발표를 마친 뒤 매입함으로써 이후의 경영 성과에 책임을 지고자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정신아표 책임경영과 주가 부양·신뢰 회복에 대한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경영진의 자사주 매입은 유통 주식 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어 시장에서 호재로 여겨진다. 이에 자사주 매입은 주가 부양 수단으로 주로 활용된다.


정 대표 역시 주가 부양책의 일환으로 자사주를 매입하고 나섰다. 하지만 투자자 반응은 시큰둥하다.




주주서한을 통해 자사주 매입을 약속했던 지난 5월16일 카카오 주가는 전일 대비 0.32% 오르는 데 그쳤고 지난 5월21일에는 첫 자사주 매입 공시에도 주가가 0.33% 하락했다. 두 번째 자사주 매입 관련 공시가 나온 다음날인 지난 14일에는 주가가 1.10% 올랐으나 그간 이어진 하락 여파에 주가는 3만6000원대에 머물렀다.


영장실질심사 마친 카카오 김범수

▲SM엔터테인먼트 시세 조종 의혹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아온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지난달 22일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친 후 서울 양천구 남부지방법원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카카오 주가는 연초 이후 40%가 하락했다. 주가가 줄곧 내리막길을 걷는 데는 사법리스크와 계열사 악재 영향이 크다.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이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혐의로 구속된 데다 그룹 계열사인 카카오페이가 중국 알리페이로 고객 개인정보를 유출한 것이 알려졌기 때문이다. 대형 겹악재에 정 대표의 자사주 매입이 주가 부양 효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주가가 반토막 나자 증권가에서도 카카오 목표주가를 줄줄이 낮추기 시작했다. 지난 8일 실적 발표 이후 보고서를 발간한 18개 증권사 중 13개 증권사가 카카오의 목표 주가를 하향 조정했다.


증권가에서는 '중립' 의견도 나왔다. 삼성증권은 지난 9일 카카오에 대해 보고서를 내고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낮췄다. 목표가도 5만1000원에서 4만2000원으로 17.6% 하향 조정했다.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은 “장기화되는 사법 리스크와 이에 따른 전사 성장 둔화를 반영해 목표주가를 하향했다"며 “또 정신아 대표의 신규 성장 동력은 카카오톡 개선과 인공지능(AI) 서비스 출시로 단기 광고 매출 성장이 예상되지만 이용자 가치 향상 측면에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 대표가 카카오 주가를 회복할 묘책으로 자사주 매입 외에 실적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내놔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카카오의 2분기 연결 기준 매출은 2조49억원으로 컨센서스를 하회한 만큼 실적 개선이 시급하다는 평가다.


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2분기 자회사를 비롯해 그룹의 성장률이 둔화됐는데 하반기 실적 성장률 역시 둔화할 전망"이라며 “카카오의 본업인 광고와 커머스에서 신규 상품을 통한 기대 이상의 실적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김기령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