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롬 파월 연준의장(사진=로이터/연합)
잭슨홀 경제정책 심포지엄이 개막한 가운데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9월 기준금리 인하와 관련된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 전 세계 금융시장이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파월 의장은 한국시간 기준 23일 오후 11시 미 와이오밍주 잭슨홀 연례 경제정책 심포지엄에서 전례대로 기조연설을 한다.
잭슨홀 심포지엄은 경제 정책을 다루는 고위급 인사들이 모여서 세계 경제와 정책 현안에 관해 의견을 나누는 학술행사다.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연은) 주최로 22일부터 사흘간 진행되며, 파월 의장 연설 외엔 모두 비공개로 진행된다. 올해 심포지엄 주제는 '통화정책의 효과성과 전달에 대한 재평가'다.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연준 의장의 연설은 통상 증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가 집계한 결과 2000년 이후부터 잭슨홀 심포지엄이 끝난 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의 주간 평균 상승률은 0.4%로 나타났다.
그러나 금리 인상기이던 2022년엔 파월 의장이 '매의 발톱'을 드러내면서 S&P500 지수는 당일 3.4% 급락했고 그 다음 주에도 3.3% 추가 하락했다.
2022년 7월 미국 물가 지표가 우호적으로 나오면서 연준의 긴축 속도가 늦춰질 것이란 기대감이 있었지만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을 이어가면서 인플레이션에 강경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올해는 미국 경제의 연착륙 기대감이 커지면서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가 인하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전날 공개된 7월 FOMC 의사록과 고용 지표를 토대로 9월 금리인하가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에서는 다음달 금리가 0.25%포인트, 0.5%포인트 인하될 가능성을 각각 76%, 24%의 확률로 반영하고 있다.
이에 파월 의장이 이번 잭슨홀 연설에서 금리인하 경로와 관련해 어떤 가이던스를 제공할지가 관심사로 떠오를 전망이다.
22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메리클 이코노미스트는 “파월 의장이 7월 FOMC 때보다 인플레이션 전망과 관련해선 더 많은 자신감을 내비치고 노동시장의 하방 리스크를 더욱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골드만삭스는 시장이 예상하는 대로 미국 금리가 향후 3차례의 FOMC 회의에서 0.25%포인트씩 인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나티시스 인베스트먼트 매니저스 솔루션의 잭 자나시에비츠 수석 포트폴리오 전략가는 “핵심은 파월 의장의 어조인데 비둘기파쪽으로 기울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인플레이션은 2%를 향해 진정되고 있고 노동시장은 둔화되고 있어 매파적 스탠스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내다봤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연준에는 앞으로 몇 달간 두 가지 경로가 있다고 제시했다.
하나는 다음 달부터 0.25%포인트씩 몇차례 내린 뒤 내년 초 경제 상황에 따라 완급을 조절하는 것이다. 하지만 경기가 급격히 침체하면 0.5%포인트씩 낮춰서 현재 연 5.25∼5.5%인 금리 수준을 내년 봄에 3% 가까이 만들 수도 있다.
WSJ은 파월 의장이 이번에 선명한 메시지를 내지 않고 지나가면 9월 6일로 예정된 8월 고용 보고서 발표 후의 상황에 여유 있게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금으로선 많은 이들이 다음 달 0.25%포인트 인하는 준비가 돼 있지만 그 후에 얼마나 빨리 내려야 할지는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고 WSJ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