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와 범죄’ 온상 텔레그램, CEO 체포 논란...‘거물 혹은 괴물’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8.26 19:59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최고경영자(CEO).AP/연합뉴스

▲파벨 두로프 텔레그램 최고경영자(CEO).AP/연합뉴스

세계적 메신저 앱 텔레그램 창업자 파벨 두로프(39) 최고경영자(CEO)가 24일(현지시간) 프랑스에서 전격 체포되면서 표현의 자유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다.




두로프 CEO 체포가 범죄 및 유해 콘텐츠에 텔레그램이 온상이라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이뤄졌기 때문이다.


러시아 출신인 두로프 CEO는 형 니콜라이 두로프(44)와 함께 2013년 텔레그램을 출시했다.



이후 국내에도 보안용으로 잘 알려지게 된 텔레그램은 전 세계 이용자 수 9억명이 넘는 글로벌 메신저로 성장했다.


지난 2015년 두로프 CEO는 “정부 당국자를 포함한 제삼자에게 단 1바이트(byte·컴퓨터가 처리하는 정보의 기본단위) 이용자 데이터도 공개하지 않았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연합뉴스에 따르면,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25일 두로프 CEO 구금이 소셜 네트워크 미래에 깊은 의문을 제기한다고 짚었다.


두로프 CEO는 텔레그램 범죄 악용을 막기 위한 조치를 하지 않은 혐의를 받는다.




텔레그램은 철저한 보안성 때문에 아동 학대 등 유해 콘텐츠와 테러, 극단주의 콘텐츠, 가짜뉴스 확산의 온상이 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다만 동시에 검열이 만연한 일부 지역에서는 유용한 뉴스 소스가 됐다.


특히 러시아, 이란, 벨라루스, 홍콩 등에선 반정부 민주화 운동 세력의 소통 도구로 활용되는 등 긍정적인 역할도 했다.


실제 두로프 CEO도 러시아 정부와 각을 세우며 표현의 자유를 추종해왔다.


그는 당초 2006년 러시아판 페이스북으로 불리는 프콘탁테(VK)를 개발, '러시아의 마크 저커버그'로 이름을 날렸다.


그러나 러시아 정부가 반정부 시위에 참가한 VK 이용자 정보를 달라고 요구하자 이를 거절하고 2014년 러시아를 떠났다.


텔레그램에 따르면, 두로프 CEO는 아랍에미리트(UAE)와 프랑스 시민권자다. 현재 텔레그램은 UAE 두바이에 본사를 두고 있다.


그의 조부모도 독재자 스탈린 치하에서 탄압받았고 특히 할아버지는 악명높은 강제수용소(gulag) 중 한 곳에 보내졌다고 한다.


두로프는 지난 3월 파이낸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나는 우리가 사람들이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사람들을 단속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사상을 드러낸 바 있다.


“권위주의로 빠르게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다.


이 때문에 두로프에 대한 평가도 극과 극이다.


텔레그래프는 일각에서 그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권력에 맞선 언론 자유의 옹호자이자 반권위주의 영웅으로 칭송한다고 전했다.


다만 다른 한편에서는 범죄 행위가 판치는 플랫폼을 만든 책임이 있는 기술 거물이라는 시각도 있다고 설명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도 “텔레그램은 이용자 자유와 사생활을 옹호하는 데 자부심을 갖고 있다"고 평했다.


하지만 “테러리스트들과 극단주의자들, 마약상들이 텔레그램 보호막 아래 모여들었다"고도 지적했다.


더 타임스는 각국 정부와 경찰이 “다른 소셜 네트워크에 비해 텔레그램이 당국 협조를 꺼리는 데 불만을 표출해 왔다"고 전했다.


이 가운데 영국 BBC 방송은 텔레그램 측이 프랑스에서 구금된 두로프 CEO가 “숨길 것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텔레그램은 성명에서 디지털서비스법(DSA)을 포함한 유럽연합(EU) 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플랫폼 또는 플랫폼 소유자가 해당 플랫폼 남용에 책임이 있다는 주장은 터무니없다"고 주장했다.


또 “전 세계적으로 10억명에 가까운 이용자들이 텔레그램을 의사소통 수단이자 중요한 정보 출처로 사용하고 있다"면서 조속한 사태 해결을 기다리고 있다고 했다.


이 문제는 프랑스와 러시아 간 외교 문제로도 비화 중이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두로프 CEO 구금으로 양국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은 러시아 당국자들이 두로프 CEO 체포에 격앙된 반응을 보였고, 일부는 러시아에 대한 간접적 적대 행위로 간주했다고 전했다.


로이터·스푸트니크 통신 등에 따르면,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은 “두로프 CEO에 대한 러시아 영사 접근권을 요구하는 서한을 보냈지만 프랑스가 협조 거절했다"고 말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프랑스는 두로프가 프랑스 국적이라는 사실을 우선으로 여긴다는 점을 (거절 사유로)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2018년 러시아 법원이 텔레그램 차단을 결정했을 때 비난했던 비정부기구(NGO)들이 이번에는 프랑스에 항의할까, 아니면 입을 닫고 있을까"라고 비꼬기도 했다.


자하로바 대변인은 당시 NGO들이 언론·표현·사생활의 자유라는 기본권을 보호해야 한다고 촉구했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휴먼라이츠워치(HRW), 국제앰네스티, 프리덤하우스, 국경없는기자회 등 28개 단체로, 유엔, 유럽연합(EU), 미국 등에 러시아 움직임을 저지해달라고 요청했다는 것이다.



안효건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