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고객 신뢰 향상’ 전기차 화재 예방 총력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9.04 13:55

삼성물산 ‘불꽃감지 센서’ 장착 CCTV 설치···내진 패키지 설계까지

DL이앤씨 ‘건물용 화재진압시스템’ 개발···롯데건설 대응 체계 구축

자료사진. 지난달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차량이 전소된 모습. 이 사고는 주차된 벤츠 전기차가 갑자기 불길에 휩싸이며 시

▲자료사진. 지난달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한 화재로 차량이 전소된 모습. 이 사고는 주차된 벤츠 전기차가 갑자기 불길에 휩싸이며 시작됐다.

지난달 1일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자동차 화재가 발생해 큰 피해가 났다.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면서 전기차 제조업체는 물론 아파트 설계·시공을 맡은 건설업체들까지 유사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각종 기술 개발 등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자사 아파트 브랜드의 가치를 끌어올리고 고객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다음달 분양하는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에 전용 전기차 화재대응 솔루션을 적용했다.


전기차 충전구역에 불꽃감지 센서가 일체형으로 장착된 CCTV를 설치한 게 골자다. 이를 통해 화재를 빠르게 감지하고 관리자에 전달해 대응할 수 있게 한다는 게 업체 측 생각이다. 전기차 전용 소화설비도 설치해 화재 상황이 발생하면 신속한 진압을 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통합 내진 패키지 설계로 소화수조에 내진 특화형 저수조를 단지에 넣기로 했다. 소화·급수·난방 배관에도 내진형 지지대를 적용해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한 주거 생활이 가능하게 한다는 방침이다.


현대건설은 일찍부터 전기차 특화 공간을 마련해왔다. 현대차그룹 초급속 충전시설 '이피트' 등을 단지에 넣으면서 차량 간격을 넓히는 등 근본적인 화재 예방 대책을 준비해왔다. 일부 단지에서는 전기차 충전 공간 주변에 벽을 세우는 등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DL이앤씨는 지난 4월 '건물용 전기차 화재진압시스템'을 개발하고 상용화를 준비 중이다. 이 시스템은 화재를 자동으로 인지하고 진압을 지시하는 '중앙관제시스템'과 직접 화재를 진화하는 '진압장비'로 구성된다.


화재가 발생하면 중앙 관제시스템은 이를 감지해 화재가 발생한 차량이 있는 위치로 진압장비를 이동시킨다. 진압장비는 해당 차량의 배터리팩에 구멍을 뚫고 물을 분사한다. 진압장비는 강력한 수압으로 터빈을 돌려 드릴을 작동시킨다. 이 드릴이 별도의 전원 공급 없이 수압만으로도 2분 안에 차체 하부와 배터리팩에 구멍을 뚫고 물을 분사해 화재를 진압하는 구조다.




DL이앤씨가 개발한 건물용 전기차 화재진압시스템이 작동하는 모습.

▲DL이앤씨가 개발한 건물용 전기차 화재진압시스템이 작동하는 모습.

DL이앤씨는 현대자동차 성능테스트 및 방재시험연구원 '전기차 실물 차량 화재시험'을 통해 이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했다. 그 결과 전기차 배터리 종류와 관계없이 10분이면 화재를 완전히 진압할 수 있는 성능을 입증 받았다.


롯데건설도 최근 이브이시스, 티엘엑스와 전기차 화재 예방 및 확산방지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브이시스의 화재 예방 신기술이 적용된 열화상 카메라와 온도센서를 이용해 전기차 충전을 실시간 감시한다. 화재 관련 이상 행동이 감지될 경우 방재실에 알림을 발송하고 충전을 즉각 중지해 과충전을 방지한다.


화재가 발생했을 때는 '티엘엑스'의 배터리 화재 전용 소화약제를 분사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CCTV 등을 활용해 소방관 도착 전까지 초기 진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건설사들의 이 같은 행보는 향후 정부가 내놓을 전기차 화재 대비 정책 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차원이기도 하다. 정부는 신축 건물 지하 주차장에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고 확산을 막을 습식 스프링클러 설치를 의무화하고, 전국 소방서에 전기차 화재 전용 진압장비를 확충하는 방안 등을 추진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건설사가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긴 하지만 정부가 (전기차 화재 예방 관련) 가이드라인을 하루 빨리 제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