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기온·열대야일 모두 1위…역대 최악 수준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09.05 13:34

평균 최저기온도 1위…평균 최고기온 2위, 폭염일은 3위
해수면 온도 평균 23.9도로 최근 10년 중 1위 달성

지난달 20일 서울 송파구 잠실네거리의 전광판에 현재 기온과 습도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0일 서울 송파구 잠실네거리의 전광판에 현재 기온과 습도가 표시돼 있다. 연합뉴스

올여름 더위가 기록적이었다는 사실이 수치로 확인됐다. 1994년이나 2018년 수준의 '최악의 더위'였다.




올여름 비는 장마 때 '폭우'로 집중되고, 장마가 끝난 뒤엔 국지적으로 소나기만 쏟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기상청은 5일 이러한 내용의 여름(6~8월) 기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올여름 전국 평균기온(25.6도), 평균 최저기온(21.7도), 열대야일(20.2일)은 모두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기상기록 기준이 되는 1973년 이후 1위를 기록했다.


평균 최고기온(30.4도)은 2위, 폭염일(24.0일)은 3위에 해당했다.




열대야일은 밤(18시 1분부터 이튿날 9시까지) 최저기온이 25도 이상인 날, 폭염일은 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이다.


올여름보다 평균 최고기온이 높았던 여름은 1994년 여름(30.7도)이 유일하며, 폭염이 더 잦았던 여름은 1994년 여름(28.5일)과 2018년 여름(31일)이 '유이'하다.




1994년이나 2018년만큼의 '최악의 더위'를 올여름 겪은 것이다.


올여름 평균기온은 평년(1991~2020년 평균) 여름 평균기온(23.7도)보다 1.9도 높았고, 평균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은 평년기온(19.9도와 28.5도)을 각각 1.9도와 1.8도 웃돌았다.


열대야일은 평년치(6.5일)의 3배, 폭염일은 평년치(10.6일)의 2.3배였다.


66개 기상관측지점 중 36곳은 올여름 열대야일이 지역 기상관측 이래 가장 많았고, 10곳은 폭염일이 역대 1위였다.


지난 6월 중순부터 쭉 기온이 평년기온을 웃돌았다.


특히 비가 자주 내려 기온이 낮아지는 장마철에도 대체로 평년보다 더웠다. 이는 남서풍을 타고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됐기 때문이다.


대기 중 수증기는 열을 붙잡아두는 역할을 하기에 밤사이 기온이 떨어지지 않았고, 이는 열대야로 이어졌다.


여름 전체로 보면 상대습도가 77%로 높진 않았지만, 7~8월만 평균 내면 81%로 2018년(76%)보다 높았다. 상대습도는 특정 온도의 공기가 품을 수 있는 최대 수증기량 대비 실제 수증기량이다.


올여름 바다도 무척 뜨거웠다.


올여름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 온도는 23.9도로, 최근 10년(2015~2024년) 중 1위였고 10년 평균(22.8도)보다 1.1도 높았다.


서해의 올여름 해수면 온도가 23.5도로 10년 평균 해수면 온도와 차이가 컸다. 평년 여름 서해 해수면 온도는 21.3도로, 올여름 온도보다 2.2도나 낮다.


월별로는 8월 해수면 온도가 28.3도로, 10년 평균 해수면 온도(26.2도)와 차이가 가장 컸다. 날이 맑아 바다에도 햇볕이 쏟아졌기 때문이었다.


'펄펄 끓는 바다'는 찜통더위를 일으킨 요인 중 하나였다.


7~8월 우리나라 해역 상대습도는 90.0%로 2018년(87.0%)보다 높았다.


유의파고(특정 시간 주기 내 파고 중 높은 순으로 3분의 1 안에 드는 파고의 평균 높이)는 올여름 0.8m로 10년 평균과 비슷했으나 7월만 보면 1.0m로 10년 평균에 견줘 0.1m 높았다. 7월에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타고 남서풍이 거세게 불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이원희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