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례신사선, 서부선 사업자 이탈
목동선·강북횡단선도 공회전
전문가 “경전철 사업 속도 내기 어려울 듯…지원 필요”
서울 경전철 사업들이 난항을 겪고 있다. 공사비 급등과 낮은 사업성으로 인해 사업자가 참여 의사를 철회거나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문턱을 넘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2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지난달 위례신사선 민간투자사업자 모집 공고를 냈지만 마감 시한인 25일까지 신청서를 낸 업체가 없어 유찰됐다.
시가 이번 공고에서 건설사업비를 기존 1조4847억원에서 1조7605억원으로 증액하고 공사기간도 5년에서 6년으로 연장했지만 지원 업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위례신사선은 위례신도시와 지하철 3호선 신사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으로, 2008년 위례신도시 기획 단계부터 추진돼 왔다. 하지만 최초 민간사업자로 선정된 삼성물산과 GS건설 컨소시엄이 사업성 등을 이유로 사업을 포기하면서 16년째 표류 중이다.
서울 서북권과 서남권을 가로지르는 서부선 경전철 사업도 난항을 겪고 있다. 사업에 참여한 현대엔지니어링과 GS건설이 잇따라 컨소시엄을 탈퇴하고 사업을 포기했다. 서부선은 은평구 새절역에서 시작해 여의도를 지나 관악구 서울대입구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이다. 16개 정거장이 들어선다. 2021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두산건설 컨소시엄은 GS건설, 롯데건설, 계룡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등의 건설투자자로 구성됐다. 현재 롯데건설, 계룡건설 등도 현대엔지니어링과 GS건설의 이탈을 보고 고민에 빠진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업체들이 애써 따놓은 사업을 포기하는 가장 큰 이유는 공사비 급등과 낮은 사업성 때문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공사비원가관리센터에 따르면 7월 건설공사비지수는 130.10으로 집계됐다. 5년 전인 2019년 7월(116.06) 대비 12.1% 오른 수치다. 그러나 해당 사업의 예산 규모는 공사비 급등 이전보다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쳐 건설업체들의 입장에선 '손해보는 장사'가 될 게 뻔하다.
양천구 신월동과 영등포구 당산동을 연결하는 목동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서울 서부 지역의 교통망 개선을 목표로 추진됐으나 올 7월 기획재정부의 재정사업평가위원회에서 공사비 급등 때문에 예상 효과에 비해 지나치게 재정 수요가 늘어나면서 예타를 통과하지 못했다. 지난 6월에도 5호선 목동역과 1호선·경의중앙선 청량리역을 잇는 강북횡단선이 예타를 통과하지 못해 좌초됐다. 노선 일부 구간이 산악 지대를 통과해야 해 비용이 많이 드는 반면 예측 수요가 적어 사업성이 낮다는 판단이 나왔다.
서진형 광운대 법무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는 “공사비 급등과 금리인상 등의 영향으로 경전철 사업의 수익성이 악화했다"며 “건설사 입장에선 손해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사업에 철수하는 것"이라고 짚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서울 경전철 사업은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등과 달리 수요가 떨어져 경제성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적자를 보기 쉬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교통호재를 기대했던 인근 주민들은 '희망고문'에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주변 부동산 시장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일례로 서부선 수혜가 예상됐던 은평구와 관악구는 집값 상승 기대감이 꺾인 상태다. 관악구 봉천동 '관악드림(동아)' 전용 84㎡는 이달 7일 종전최고가보다 2억2000만원 낮은 9억3900만원에 팔렸다. 은평구 응암동 '백련산SK뷰아이파크' 전용 84㎡는 지난 8일 최고가보다 2억원 낮은 10억원에 매매계약을 채결했다.
업계에선 서울의 경전철 사업이 당분간 속도를 내긴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송 대표는 “공사비가 갑자기 너무 빨리 올라 건설업 전체가 침체기"라며 “경전철 사업은 계속해서 난항을 겪을 것이므로 빠른 진척을 위해 지자체 차원의 지원과 예타 문턱을 낮추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경전철 이용인구가 크게 늘어나거나 하는 변수가 없다면 지연될 가능성 높다"며 “서울의 균형발전·개발·지역적 양극화 완화를 위해선 경전철 사업을 꾸준히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