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친환경·안전 다 잡겠다”…국내 최초 시멘트공장의 변신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0.28 14:46

삼표시멘트 삼척공장, 친환경 설비에 1700억원 투자 계획
대규모 안전체험 교육장 건립 추진도

배동환 삼표시멘트 이사가 삼척 삼표시멘트 공장 프레스투어 기자간담회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사진=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배동환 삼표시멘트 이사가 삼척 삼표시멘트 공장 프레스투어 기자간담회에서 설명을 하고 있다.사진=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친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실천과 미래성장 동력확보를 위해 전사적 역량을 쏟고 있다. 업계를 선도할 수 있는 ESG 기업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지난 23일 삼척 삼표시멘트 공장에서 만난 배동환 삼표시멘트 이사는 이같이 강조했다.


삼표시멘트 본사가 있는 삼척공장은 1957년 6월에 설립된 국내 최초의 현대적 시멘트 생산 공장이다.설립 당시 연간 연간 1100만t의 시멘트를 생산해 단일 공장 기준으로 국내 최다 시멘트 생산 공장으로 꼽히기도 했다. 현재 삼척공장에서 삼표시멘트가 한 해 동안 생산하는 시멘트는 포틀랜드 957만6000t, 클링커 780만1000t으로 총 1737만7000t이다.



삼척항에 삼표시멘트 시멘트 전용선이 정박해 있다.(해당 사진은 관련 기관의 허가를 받아 촬영했습니다.)

▲삼척항에 삼표시멘트 시멘트 전용선이 정박해 있다.(해당 사진은 관련 기관의 허가를 받아 촬영했습니다.)사진=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시멘트 제조는 △채광 공정 △원료 분쇄공정 △소성공정 △시멘트 분쇄·출하 등의 공정을 거친다. 이후 시멘트는 전용선에 실려 전국으로 운송된다. 삼척시멘트는 14척의 전용 선박을 이용하는데, 하루 평균 2척이 약 7000t의 시멘트를 삼척항에서 선적해 전국으로 운반한다고 배 이사는 설명했다.


삼표시멘트가 이날 언론에게 삼척 공장을 공개한 것은 정부의 친환경 규제 강화 기조에 발맞춰 저탄소 친환경 제품·기술 확대로 환경중심 경영 가속화하고 있다는 점을 대내외에 알리기 위해서였다.




현재 시멘트 업계는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다.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12% 줄여야 한다. 삼표시멘트는 정부 방침보다 한발 앞서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21% 감축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장지적으로 1700억원 규모의 친환경 설비 투자를 진행하고 시멘트 연료와 원료 다변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일례로 삼표시멘트는 지난해 8월부터 건식 석탄재를 시멘트 원료로 사용할 있는 기술을 개발해 생산 공정에 적용하고 있다. 화력발전소에서 석탄을 연소하고 남은 석탄재를 건식 상태로 시멘트 공장으로 이송한 후 시멘트 부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신기술의 핵심이다. 석탄재를 부원료로 사용하면 탄소 배출이 많은 클링커 생산을 낮추는 것은 물론 국내 연안에 매립해야 하는 석탄재 물량을 연간 20만t까지 줄여 해양환경 오염도 방지할 수 있다.




직경 5.6m, 총 길이 87m 규모의 소성로가 돌아가고 있다.

▲직경 5.6m, 총 길이 87m 규모의 소성로가 돌아가고 있다.사진=에너지경제신문 이현주 기자

지난해 7월부터는 산업통상자원부의 탄소중립 산업 핵심기술 개발사업 중 하나인 소성로에서 사용하는 유연탄 연료를 폐비닐이나 폐플라스틱으로 대체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연구과제에도 참여하고 있다.


배 이사는 안전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2019년 총 13억3000여만원이었던 안전 관련 예산을 2020년 58억5000만원, 2021년 90억1000만원으로 대폭 늘렸다. 이후에도 안전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올해에도 57억6000만원을 지출한다. 최근에는 약 2000㎡(600평) 규모의 안전체험 교육장인 'Safety Training Center'을 건립하고 있다. 가상현실(VR)을 활용해 다양한 산업재해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 회사 심연석 안전 담당 상무(CSO)는 “내년 상반기까지 계열사는 물론, 그룹사 직원까지 3000명 정도 교육이 가능한 2층 규모 글로벌 수준의 안전 교육 센터를 구축할 것"이라며 “각 작업 단계별 안전사고에 대응할 수 있도록 콘텐츠를 설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현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