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 힘주기’ 커지는 보험업계…‘과경쟁·소비자 피해’ 우려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0.31 16:32

ABL생명, ABA에 역대 최대 규모 출자 단행
보험사들, 자회사형 GA 키우기 속속 뛰어들어

기존 GA 대항마·매출 확보 루트 대비 목적
“과경쟁이 설계사문제·소비자피해 야기할수도”

최근 보험업계 내 법인보험대리점(GA) 채널의 거대화가 나타나고 있다.

▲최근 보험업계 내 법인보험대리점(GA) 채널의 거대화가 나타나고 있다.

보험업계 내 법인보험대리점(GA) 채널의 거대화가 나타나고 있다. 시장이 자회사형 GA와 기존 GA간 경쟁으로 재편될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일각에선 설계사 모집과 관련한 과경쟁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ABL생명, 자회사 GA 140억원 수혈…몸집 늘리기 경쟁 격화

3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ABL생명이 지난 22일 자회사 GA인 'ABA금융서비스'(이하 ABA)에 142억원 규모의 추가 출자를 결정했다.


지난 9월 26일 이사회에서 승인된 추가 출자로 인해 ABA의 자본금 규모는 331억원으로 늘었다. ABA가 ABL생명으로부터 받은 지원은 이번이 네 번째로, 역대 최대 규모다.



ABL생명은 이번 출자 목적이 ABA의 GA시장 내 경쟁력과 장기적인 성장 기반 마련 지원에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영업 인력은 9월 말 기준 670여명에서 1000명 이상으로 늘릴 예정이며 2027년까지 대형 GA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는 것이 목표다. ABA는 향후 우량 조직 확보를 위한 투자를 늘려 대형 GA로의 성장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ABL생명 관계자는 “이번 자본확충으로 기존에 경쟁력을 확보한 영업지원 체계와 영업관리자 경력 개발 프로그램, 가망고객 DB 제공제도, 업계 최고 수준의 디지털 영업 지원 플랫폼을 바탕으로 M&A를 포함한 외부 조직 도입과 영업조직 경쟁력 강화에 투자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타 보험사들도 자본금 확충이나 조직 확대 등을 통해 자회사 GA 규모를 키우기 시작하면서 해당 채널 경쟁이 격화되고 있다.


동양생명은 지난 4월 자회사 GA '동양생명금융서비스'의 대면채널 영업력 확대를 목적으로 100억원 규모의 자금을 투입했다. KB라이프생명은 지난 2월 KB라이프파트너스에 4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흥국생명도 올 초 HK금융파트너스에 자본금 100억원을 출자한 바 있다.




AIA생명은 AIA프리미어파트너스 사업 확대를 위해 올해 1월과 7월 두 차례에 각각 180억원과 250억원의 자금을 수혈했다. 손보업권에선 현대해상이 지난 2월 자회사 GA '마이금융파트너'에 300억원을 출자하기도 했다.


삼성화재는 자회사 GA인 삼성화재금융서비스의 인력과 조직 확대에 본격 나선 상태다. 소속 설계사 숫자는 올해 9월 말 기준 5251명이며 산하 조직까지 포함한 전속 지점은 지난 2022년 12월 말 66개에서 올해 6월 말 96개로 45.5% 증가했다. 지난 2월에는 300억원을 출자하기도 했다.


한화생명도 공격적으로 자회사 GA설계사 규모를 확장하고 있다. 한화생명금융서비스, 한화라이프랩, 피플라이프의 소속 설계사 숫자는 올해 6월 말 기준 2만9184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02명(13.2%) 늘어났다.



기존 GA 대항마 갖추는 보험사들…소비자피해 야기 우려도

이는 기존 GA의 영향력의 확대에 대비해 보험사마다 자회사 GA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설계사들이 다양한 상품을 취급해 판매할수록 더 많은 보수를 가져가는 업계 특성상 특정 보험사에 소속된 전속설계사들의 GA 이탈 현상이 심해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건강보험상품의 판매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영업력을 지닌 기존 GA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원수보험사가 수수료나 시책 등에서 불리한 위치에 서게될 가능성이 커진다. 자사 상품의 판매 의존도가 기존 독립 GA에 쏠려있을수록 협상력을 잃을 수 있다. 자회사 GA가 원수사 상품만 팔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원수사가 소속 영업채널을 확보함으로써 자사 상품의 안정적 매출 확보에 매진할 루트를 얻게 되는 셈이다.


이렇듯 자회사형 GA 확대 가속화에 따라 향후 GA시장이 기존 대형 독립 GA와 자본력을 갖춘 자회사형 GA의 경쟁으로 재편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다만 GA 채널의 거대화를 두고 각종 우려도 따르는 상황이다. 우선 자회사형 GA의 몸집이 커지면서 기존 GA와의 설계사 경쟁이 심화할 수 있다. 이미 업계에선 설계사 스카웃 경쟁에 따른 정착금 제도 경쟁이나 잦은 설계사 이직에 따른 승환계약·불완전판매 발생으로 인해 소비자 피해가 야기된다며 이슈화된 바 있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투자하는 만큼, 외형을 확대하는 만큼 수익성도 어느정도 따라오는 시장의 특성상 이같은 추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가뜩이나 설계사 이직문제로 인한 소비자 피해 등이 문제시되어 왔는데 과도한 설계사 영입 경쟁이 격화될 시 파생되는 현상들이 소비자 피해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박경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