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1%로 집계됐다. 서울 세종대로사거리에서 두꺼운 옷을 입은 시민들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전분기 대비 0.1% 성장했다. 수출이 마이너스(-) 성장을 하며 시장 기대보다 낮은 성장률을 보였다.
한국은행은 5일 3분기 국민소득(잠정)을 발표하며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1%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전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0.2%)를 기록했다가 한 분기 만에 반등했다. 분기 성장률은 올해 1분기까지 5개 분기 연속 성장하다가 1분기에 1.3% 성장한 기저효과 등에 따라 2분기에 -0.2% 후퇴했다.
부문별로 보면 3분기에 수출이 0.2% 줄었다. 자동차, 화학제품 등을 중심으로 감소했다. 건설투자도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6% 후퇴했다.
반면 수입은 기계, 장비 등이 늘어 1.6% 늘었다. 민간소비는 재화, 서비스 소비가 모두 늘어 0.5% 증가했고, 정부소비는 사회보장현물수혜(건강보험급여비)를 중심으로 0.6% 늘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운송장비가 모두 늘어 6.5% 성장했다.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3분기 성장률 기여도를 보면 순수출(수출-수입)이 -0.8%p로 나타났다. 건설투자는 -0.5%p였다. 설비투자는 0.6%p, 민간소비 0.3%p, 정부소비 0.1%p 각각 기여했다.
경제활동별로 보면 전기·가스·수도업이 5.9% 증가했다. 전기업과 가스, 증기, 공기조절 공급업 등을 중심으로 늘었다. 농립어업은 농축산업 성장 등에 따라 2.4%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숙박음식업 등이 줄었으나 의료, 보건업 등이 늘어 0.2% 성장했다.
3분기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분기 대비 0.5% 감소했다.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7조3000억원에서 9조원으로 늘어 명목 GDP 성장률(-0.8%)을 상회했다.
실질 GNI는 1.4% 증가했다.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무역손실이 16조6000억원에서 14조2000억원으로 축소되며 실질 GDP 성장률(0.1%)보다 높았다.
3분기 총저축률은 34.4%로 전분기 대비 0.8%p 낮아졌다. 국내 총투자율(29.9%)은 전기 대비 0.8%p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