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탄핵 국면 장기화 촉각…내년 사업계획 수립 고심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2.08 11:06

‘최악 상황’ 면했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은 장기화

내년 저성장 전망에 트럼프 2기 출범 등 변수 多

삼성·LG·SK 등 이달 전략회의…대응 전략 모색

재계 “8년 전과 비슷한 듯 달라…대내외 상황 촉각”

ㅇㅇㅇㅇ

▲지난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내란죄 윤석열 퇴진! 국민주권 실현! 사회대개혁! 범국민촛불대행진'에서 국회대로를 가득 메운 참가자들이 탄핵안 표결 처리를 촉구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지난 7일 투표 불성립으로 폐기됐지만 국내 재계는 기업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내년도 경영 환경이 안갯속에 빠진 탓이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주요 기업들은 탄핵 국면 장기화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내년도 사업 계획을 수립 중이다. 비상계엄 여파로 인한 정치 불안이 길어질 것으로 예측되면서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내년부터 1%대 저성장 국면이 예고된 데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경영 불확실성도 가중된 상황이다. 무엇보다 만에 하나 탄핵소추안이 가결될 경우, 경제외교 공백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수출 기업에는 악재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재계는 환율 변화에 따른 대외 환경 변화 및 대외신인도 타격 가능성 등을 살피며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달 중순 글로벌 전략회의를 열어 내년도 사업 목표와 영업 전략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한종희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부회장)과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이 각각 회의를 주재한다.


이번 회의에선 대내외적 불확실성과 각종 리스크를 타개할 수 있는 방안과 경쟁력 회복 전략, 내년 사업 목표 등을 공유할 것으로 보인다.




SK그룹도 기존 사업에 대한 포트폴리오 리밸런싱(구조조정)과 운영 개선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특히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한 신성장동력 발굴과 경쟁력 강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현대차그룹도 하반기 해외 권역본부장회의를 열어 미주·유럽·인도 등 주요 시장에 대한 사업계획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비롯해 장재훈 현대차 사장, 송호성 기아 사장, 호세 무뇨스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 등 최고경영진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 자리에선 권역별 올해 실적과 시장 대응 방안을 비롯해 국내 상황과 환율 추이, 해외 정책 등이 그룹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통상 권역본부장회의에선 일부 핵심 권역 중심으로 보고를 받아온 것으로 전해진다.


ㅇㅇㅇㅇ

▲지난 9월 LG 사장단 워크숍에 참석한 구광모 회장.

LG그룹은 조만간 구광모 LG그룹 회장 주재로 회의를 열고 미래 사업 역량 확보와 성장 기반 구축 방안을 모색한다.


앞서 구 회장은 지난 9월 사장단 워크숍에서 “기존에 해오던 방식을 넘어 최고, 최초의 도전적인 목표를 세워 LG의 미래에 기록될 역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롯데그룹은 내년 1월 VCM(옛 사장단 회의)을 열고 신년 사업계획과 중장기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다.


롯데는 최근 핵심 사업인 화학·유통 부문 실적 부진과 재무 악화라는 이중고를 겪는 가운데 롯데케미칼 등 계열사에서 유동성 위기설이 불거진 상태다. 이번 회의는 위기 극복 및 지속성장 방안 마련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철강·조선·석유화학 등을 주력 업종으로 삼는 중후장대 기업들도 환율 급등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들은 국내외 불확실성으로 인한 환율 변동 영향이 가장 큰 만큼 각종 시나리오를 설계하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 수립에 주력하고 있다.


이와 관련 재계 한 관계자는 “비상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국내 정치 상황 및 대외적 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른 기업들도 비슷한 분위기"라며 “최악의 상황도 고려하면서 대응책을 마련 중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8년 전에도 비슷한 국면을 겪었던 만큼 차분히 준비하고 있지만, 그 때보다 정치 갈등이 더욱 심화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상황들이 기업 경영에 악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이어져선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태민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