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인 순매도 이어지는 코스피, 6개월 새 12% 하락
탄핵 정국에 글로벌 불확실성이 투심에 악재로 작용
FOMC 금리 인하 속도 둔화에 내년 증시는 ‘안갯속’
내년 한국 증시 향방을 좌우할 변수로 미국 트럼프 정부의 정책, 금리 인하 속도, 국내 탄핵 심판의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경제 환경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교차하며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이 요인들은 국내 증시 수급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코스피 지수는 약 12% 하락했다. 지난 7월 11일 기록한 52주 최고치(2896.43)에 비하면 15% 이상 내린 상태다.
국내 증시가 부진한 이유로는 수급 악화가 꼽힌다. 어두운 국내 경기 전망과 환율 상승 등으로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외국인은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 연속 자금을 빼냈고, 12월에도 1조원대 순매도를 기록 중이다. 그간 국내 증시를 지탱하던 개인 투자자들마저 이달 3조원대 순매도를 보이며 증시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내년에도 국내 증시를 둘러싼 수많은 변수가 수급 전망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그중 첫 손 꼽히는 것은 정치적 불확실성이다. 이달 초 비상 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은 내년 초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정책적 혼란은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 진입하는 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증시는 정치적 이슈에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있다. 지난 7일 첫 탄핵소추안 가결이 좌절됐을 당시 국내 증시는 하루에만 3% 가까이 하락하며 2360대까지 밀리기도 했다. 이후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에도 큰 반응을 보이지 못하며 2500선에 안착하지 못했다. 한편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이재명, 한동훈, 우원식 등 정치인 테마주는 큰 변동성을 보였다.
정부와 국회가 추진하던 증시 관련 정책 개선 과정도 불투명해졌다. 국회의 각 당이 탄핵 정국 대응에 총력을 쏟으며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법률 개정 논의가 주춤하고 있다. 정부의 증시 활성화 정책 방향성도 내년에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 외국인 진입을 가로막는 공매도 전면 재개 시점은 원래 3월 말로 예정됐으나 이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정책 방향성도 국내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여전히 보호무역주의를 고수하고 있으며, 중국뿐 아니라 한국에 대해서도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이 높다. 이는 반도체, 자동차 등 국내 주요 업종 상장사의 실적에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투자자들의 국내 증시 기피 요인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이를 해소할 정치 여력이 부족한 점도 지적된다. 계엄·탄핵 사태로 인해 정부의 대미 외교 대응 공백이 생겨서다. 같은 시기 일본은 미국에 적극적인 외교를 이어가는 모습과 대비된다.
금리 전망도 증시를 어둡게 하고 있다. 당초 내년 미국 기준금리 인하가 유력시됐으나, 최근 FOMC 결과 금리 인하 기대감이 약화됐다. 9월 점도표에서 내년 금리 인하 횟수는 4회로 예상됐으나 이번 발표에서는 2회로 줄었다. 미국 내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목표치(2%)를 웃돌고 있는 것이 원인이다.
원·달러 환율은 당분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계엄 사태 이후 1400원대까지 오른 환율은 FOMC 직후 15년 만에 일시적으로 1450원을 넘기도 했다. 금리 인하 속도 저하와 환율 상승세는 여전히 외인 투자자의 국내 진입을 주저하게 만들고 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저평가 구간에서 예상치 못한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반영한 이후 분위기 반전을 모색 중"이라며 “변동성 확대는 비중확대 기회로 판단하며, 변동성을 활용한 주식 매집 전략을 유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