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칼럼] 찢어진 어깨 힘줄, 수술없이 재생 유도한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4.12.22 14:55

‘회전근개 파열=무조건 수술’ 인식 없애야
파열 크기 절반 미만 시 비봉합치료로 가능

염지웅 검단바른정형외과 대표원장

▲염지웅 검단바른정형외과 대표원장

과거에는 회전근개가 파열되면 봉합 수술만이 유일한 해결책이었다. 최근에는 비수술적 치료로도 충분히 질환을 관리할 수 있게 됐다. 비수술 치료법이 안정성과 효과를 인정받으면서 수술까지는 필요 없는 환자들의 선택권이 넓어지고 있다.




회전근개 파열은 노화, 외상 등의 원인으로 힘줄이 찢어져 관절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으로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는다. 회전근개 부분 파열을 방치하면 파열 범위가 1년에 4㎜씩 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층 파열로 발전되기도 한다.


또한, 힘줄이 파열된 채로 방치되면 힘줄이 퇴축, 퇴화 돼 파열 범위가 커지거나 힘줄에 연결된 근조직이 지방조직으로 변하기도 한다. 그건 봉합할 수 있는 힘줄이 없어져 수술이 불가능해진다는 뜻이다.



그래서 반드시 병원에 가야 하지만 수술만이 능사는 아니다. 회전근개 파열 시 수술은 찢어진 힘줄을 봉합한다는 점에서 근본적인 치료법이지만, 신중하게 결정할 필요가 있다. 봉합된 힘줄이 정상 힘줄의 강도에 이르려면 시간이 걸리는데 그 전에 충격이 가해지면 재파열될 가능성이 크다.


대한정형외과학회에 따르면 회전근개 중파열에서 9%, 대파열에서 33%, 광범위 파열에서는 61%가 봉합술 후 재파열된다. 재파열된 회전근개를 다시 수술하면 예후가 좋지 않다. 그래서 미국정형외과학회(AAOS)는 보존적 치료를 6~12개월 이상 실시해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파열의 크기가 3㎝ 이상인 대파열인 경우에만 봉합술을 하라고 권고한다.




문제는 '회전근개 파열은 무조건 수술해야 한다'는 인식 탓에 치료를 미루는 사례가 많다. 하지만 실제 치료 현장에서는 수술까지 가는 시점을 늦출 수 있도록 다양한 치료를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통상 회전근개 파열 크기가 50% 미만인 부분 파열인 경우 반드시 수술적 치료를 요하지 않으며, 약물치료·주사치료·체외충격파 치료와 물리치료 및 도수치료를 추가하여 회전근개 파열 부위가 커지지 않게만 보존한다면 수술할 필요는 없다.




회전근개 힘줄의 일부만 찢어졌거나 고령이라 수술 부담이 큰 환자들에겐 이러한 보존적 치료법들로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통증도 줄고 추적검사에서 힘줄의 파열이 진행하지 않는다면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것도 아니다. 그리고 콜라겐 주사요법도 효과적이다. 콜라겐을 주입해 파열된 힘줄의 재생을 꾀하는 치료법이다.


콜라겐은 힘줄이나 연골, 뼈, 피부 등을 구성하는 단백질인데 회전근개 역시 콜라겐으로 이뤄져 있다. 파열되거나 손상된 회전근개는 콜라겐 배열이 불규칙적이거나 단절돼 있기 때문에, 단절된 부분에 콜라겐을 골고루 주입하면 힘줄 세포가 분화되고 증식해 회전근개가 어느 정도 재생된다.


오랜 임상사례로 안정성은 높고 부작용은 적지만 경우에 따라 효과가 약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부분파열 환자에게 콜라겐 주사 요법이 45%의 환자군에게 찢어진 힘줄을 메꿔준다는 보고도 있었다.


확실히 회전근개파열은 노화와 관련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과도한 운동, 어깨에 무리를 주는 안좋은 자세, 스트레스, 피로 누적 등의 영향으로 젊은 환자도 꾸준히 늘고 있다.


따라서, 연령, 육체적 활동 요구도, 동반질환, 통증 등의 변수를 고려해 수술을 결정해야 한다. 혹시 수술 진단을 받았다면 다른 의사의 소견도 들어보고 결정하기를 권한다.


염지웅 검단바른정형외과 대표원장



박효순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