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부과 후 동맹과 협상’ 보도…‘국내 원료, 미 제조’ 영향 받나
중국의 美 LFP 진출 차단 땐 한국 반사이익 기대…韓 음극재도 활로 가능성
한국이 미국의 배터리 소재 수입 시장에서 1위 자리를 굳힌 것으로 집계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신(新) 행정부가 이차전지 소재에 관세를 매기는 방안을 검토하는 가운데 한국이 우선 대상이 될 수 있어 앞으로 협상력이 중요해질 것으로 분석된다.
22일 한국무역협회가 분석한 유엔 무역통계(UN Comtrade)에 따르면 미국의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수입액은 2020년 50억2100만달러에서 2023년 96억9800만달러로 93.1% 증가했다.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은 이차전지 핵심 소재다.
미국의 배터리 소재 수입이 배 가까이 느는 동안 중국 비중은 크게 줄고, 한국 비중이 급격히 상승했다.
2020년에는 중국이 28.9%로 1위였고 일본(17.2%), 독일(10.1%), 캐나다(9.1%)가 뒤를 이었다. 당시 한국의 비중은 8.5%로 선두권에 끼지 못했다.
하지만 지난해에는 한국과 일본이 각각 33.7%, 26.4%로 양강 구도를 형성했다. 3위인 중국의 비중은 8.4%로 떨어졌다.
2023년 한국의 대미 3대 배터리 소재 수출액은 총 32억6800만달러였다. 양극재가 29억3000만달러로 90%였다. 통상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는 전체 배터리 가격의 약 40%를 차지한다.
이런 변화는 미중 신냉전을 배경으로 한 세계 공급망 개편 흐름 속에서 나타났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한국 배터리 3사가 미국에 대규모 배터리 공장을 지으면서 한국에서 원료로 가져다 쓰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등 소재의 양이 늘어난 상황이 무역 통계에 반영된 것이다.
하지만 최근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트럼프 당선인 인수팀이 전기차 소비 보조금을 대폭 축소하는 대신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로이터는 인수팀 내부 문건을 인용해 “세계 모든 배터리 소재에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미국 내 생산을 장려하고 이후 동맹국들과는 개별적인 협상을 통해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을 권고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무차별 배터리 소재 관세가 현실화하면 한국 배터리 업계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질서'에 적극 대응해 구축한 '한국 재료, 미국 생산' 질서에 큰 영향이 생기게 된다. IRA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을 체결한 국가에서 가공된 배터리 소재도 자국산과 동등하게 인정해 전기차 소비 보조금을 준다.
향후 미국의 배터리 소재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면 가격 인상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 이는 전기차 수요를 억제해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에 빠진 업계의 어려움을 가중하는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트럼프 신정부가 협상 과정에서 한국 등 우방국 기업들에 자국 내 배터리 소재 생산 시설 건설 요구를 강화한다면 기업들은 전에 없던 추가 투자 부담을 질 수 있다.
다만 중국이 선도 기술을 장악한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시장에서 후발 주자인 한국이 반사이익을 볼 수 있어 기회 측면도 공존한다. 중국산 음극재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관세가 크게 오르면 국내 유일의 음극재기업인 포스코퓨처엠이 대미 수출에서 활로를 찾을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