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군 업체도 ‘알짜 자산’ 매각…“건설업 불황의 골 깊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1.05 11:09

지난해 자산 매각한 건설사 10곳…대우·DL 등 1군 건설사 포함

건설경기 침체 장기에 유동성 확보 나서…“위기상황 대응한 선제 조치"

.

▲돈의문 디타워. DL이앤씨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시공능력평가 10위 안에 드는 '1군 건설사'들까지 대거 '알짜 자산'을 매각해 현금 확보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미분양 적체 등으로 현금 수입이 대폭 감소해 자금이 필요해 진데다 전체적인 경기 침체와 지나친 공사비 급등·정국 불안 등으로 건설업 불황이 장기화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위기에 대한 사전 대응 차원이라는 분석이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자산을 매각해 현금화한 대형 건설사는 10곳으로 집계됐다. 특히 최근 몇년새 자산 매각 회사가 증가하고 있다. 대형 건설사들이 부동산 등 유형 자산을 팔거나 타법인 주식 및 출자 증권을 처분했다는 공시는 2022년 6건, 2023년 2건, 2024년 10건으로 해마다 늘어났다.


대표적으로 대우건설은 지난해 11월 유동성 개선을 위해 분양을 불과 2년 앞둔 '동탄2대우코크렙뉴스테이기업형임대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의 보유 주식 225만주 중 180만주를 처분하며 1800억원을 손에 쥐었다.



DL그룹 지주사인 DL도 지난달 '디타워 돈의문'를 약 8953억원에 매각해 약 1300억원을 확보했다. 약 2400억원의 시세 차익 중 절반 가량을 가져갔다. 디타워 돈의문은 마스턴투자운용이 2020년 펀드를 조성해 매입한 것으로, DL은 주요 투자자로 매입에 참여했다. DL그룹은 건설을 포함한 주력 사업에 사용할 현금을 비치하기 위해 글래드 여의도, 글래드 강남 코엑스센터, 메종 글래도 제주 등 호텔 3곳의 매각 또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예상 매각가는 약 6500억원으로 추정된다.


코오롱글로벌도 지난달 서울 서초구 소재 '서초 스포렉스' 복합 스포츠시설 토지 및 건물을 그룹 계열사 코오롱인더스트리에 약 4301억원에 양도했다. 코오롱글로벌은 지난해 11월 계약금 10%를 수령한데 이어 지난달 잔금 90%를 받으며 계약을 마무리했다. 이 밖에도 GS건설도 2012년 인수한 스페인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에 대한 매각을 추진 중이다. '




과거엔 대형 건설사들이 신규 사업 확장 등 투자를 목적으로 자산을 매각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선 건설업 불황이 계속되면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우선 당장의 급한 불을 끄기 위한 현금을 마련하려는 건설사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근 1~2년새 건설업 불황이 계속되면서 연간 매출 규모가 1조원대가 넘는 대형 건설사들도 미분양 적체, 신규 사업 수주 저조, 공사 대금 미수금 증가 등에 따라 매출액·영업 이익이 대폭 감소했다. 따라서 알짜 자산을 매각해 운영 자금 및 금융 비용을 마련해야 할 만큼 사정이 어려워지고 있다. 예컨대 코오롱글로벌의 경우 1조4000억원의 이자성 부채가 있으며, 1년 이자만해도 9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대형 건설사들도 짧게는 올해 하반기에서 길게는 내년까지도 건설업 불황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이에 대한 대응에 나섰다는 지적도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시장이 회복세에 접어들 때까지는 버텨야하기 때문에 자산 매각을 통해 현금을 쌓으며 버티기에 들어간 것"이라며 “지방에서의 미분양 물량 등이 부정적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리스크에 대응해야하는 것이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정부에서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관련 대책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위험 방지 차원에서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현 상황을 헤쳐 나가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기업은 기본적으로 고정적인 운용비가 발생하지만, 업황은 등락을 반복한다. 그러나 건설사의 경우 기술력이 포함돼 있어 인력을 임의로 줄일 수 없고, 벌려놓은 대규모 사업 또한 많아 한 곳에서 문제가 터진다면 큰일이 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며 "이러한 일들을 방지하려고 유동성 확보를 최대한 빨리 하려고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건설경기가 단기간에 호전될 가능성은 높지 않음으로, 어느 정도 자산여력을 가진 건설사들을 중심으로 그런 상황 대비해 선제적인 조치를 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다니엘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