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 연구팀, 美하버드대 공동연구 결과…“가벼운 음주도 암발병 증가 가능”
14만명 최장 38년간 추적관찰 분석…“위험 줄이려면 최소 14년 이상 금주” 권고
![허진희 성균관대 교수](http://www.ekn.kr/mnt/file_m/202501/news-p.v1.20250124.7e156f73fa2a492ab31a8a63ebfbe52d_P2.jpg)
▲허진희 성균관대 교수. 사진=성균관대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식품생명공학과 허진희 교수 연구팀이 미국 하버드대학교 보건대학원과 공동연구를 통해 가볍거나 적당한 음주이더라도 대장암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폭주보다 적은 음주는 괜찮다는 고정관념을 맹신해 매일 가볍게 술을 즐기는 애주가들에게 대장암 발생의 경고를 알리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에서 언급한 가벼운 또는 적당한 음주 기준은 매일 알코올 섭취량 여성 15g(약 12.7㏄) 미만, 남성 30g미만(약 25.4㏄남성)이라고 성균관대는 적시했다.
이 용량을 소주잔(50㏄) 기준으로 적용하면 남성은 소주 반잔 미만, 여성은 소준 1/4잔 미만 수준을 마시더라도 대장암 위험성을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24일 성균관대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미국의 간호사건강연구와 보건의료인추적연구 참여자 약 14만명을 최장 38년간 추적 관찰한 대규모 역학연구를 분석한 내용이며, △음주량 △음주 패턴 △주종 △잠복기 △금주·절주 등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여러 영향들을 다각도로 면밀하게 살펴본 성과물이다.
허교수 연구팀은 “기존 연구들은 가벼운 또는 적당한 음주와 대장암 발생 간의 연관성을 명확히 규명하지 못했으며, 개인의 장기적인 음주량 및 음주 패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며 “그 결과, 소량 음주가 건강, 특히 대장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놓고 학계에서 오랫동안 논란이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허진희 교수는 “과도한 음주가 대장암 발생의 주요 위험 요인이라는 점은 잘 알려져 있지만, 이번 연구는 가벼운 음주조차도 안전하지 않을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 역학 연구"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소량 음주를 즐기는 사람의 경우, 대장암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해 '최소 14년 이상의 장기간 금주'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연구 내용은 저명한 연구 학술지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지난해 12월 온라인판에 게재됐다고 대학측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