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MM의 대형 컨테이너선
연초부터 글로벌 해운 운임지수가 3주 연속 하락하고 있다. 아울러 올해 글로벌 선복이 공급 과잉을 맞이했고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 이후 무역 갈등으로 해운 수요가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공급 과잉과 수요 위축으로 올해 국내 해운사의 실적이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온다.
27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2045.45로 전주 대비 85.36포인트(4%) 하락했다. 글로벌 운임지수인 SCFI는 올해 1월 3일 2505.17이었으나 3주 연속 하락한 결과 18.35% 급감했다. SCFI가 2000선까지 떨어진 것은 지난해 10월 18일 이후 14주 만이다.
더 큰 문제는 올해 운임이 지속적으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우선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하면서 미국이 자국 우선주의를 기반으로 보호무역주의를 펼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에 무역이 줄어 글로벌 해상 물동량이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최대 60% '관세 폭탄'을 예고하고 있어 미·중 무역 물량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앞서 트럼프 1기 행정부(2017~2021년) 당시에도 미·중 무역분쟁으로 운임이 줄었다. 2017년 710선까지 떨어진 SCFI는 2020년에야 1000선을 회복했다.
아울러 올해부터 글로벌 컨테이너 해운시장의 구조적 공급 과잉 현상이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무역협회는 올해 컨테이너 선복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여기에 연초부터 운임이 급락하면서 국내 해운사의 실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내 대형 해운사가 지난해 급격히 개선된 실적을 올해도 유지할 수 있는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다.
실제 국내 1위 해운사인 HMM은 지난해 3분기(7~9월)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으로 각각 3조5520억원과 1조4614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 758억원 대비 19배 급등한 것이다.
HMM이 분기 1조원 이상 영업이익을 기록하는 것은 지난 2022년 4분기 1조2588억원 이후 약 2년 만이다. 지난해 3분기까지 예멘 후티 반군이 홍해를 오가는 선박들을 무분별하게 공격한 '홍해 사태'의 영향으로 글로벌 운임이 급등한 덕이다. SCFI도 지난해 7월 초 3733.8로 전고점을 기록했다. 반면 올해 SCFI는 지난해보다 100포인트 가량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올해 선복량은 늘어났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영향으로 글로벌 해운 수요는 줄어들 것 같다"며 “올해 컨테이너선 시장에서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국면이 장기간 이어질 것 같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