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슬레저 빅2 젝시믹스·안다르, 안방시장 좁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03 16:30

3강 구축 뮬라, 기업회생 신청 사실상 경쟁 탈락
해외 룰루레몬 3위 꿰차…수입브랜드 공세 가속
젝시믹스 中·日·대만, 안다르 호주·美 진출 대응

젝시믹스의 중국 시안 내 8호점

▲젝시믹스의 중국 시안 내 8호점 전경 사진=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올 들어 토종 애슬레저 웨어 업계의 '옥석 가리기 신호'가 뚜렷해진 가운데, 일제히 성장 동력 모색을 위해 글로벌화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다.




특히, 한국 시장에서 해외 애슬레저 브랜드의 영향력이 커지는 만큼 잠재 수요가 높은 글로벌 시장을 겨냥해 매장 확대 속도전으로 치닫는 모양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한때 젝시믹스·안다르와 함께 토종 빅3 중 한 곳으로 꼽혔던 뮬라가 최근 서울회생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경영에 제동이 걸린 분위기다. '물류 시스템 점검·정비 작업' 등을 이유로 지난달 13일부터 현재까지 공식 온라인몰을 통한 주문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2011년 탄생한 뮬라는 국내 첫 애슬레저 웨어 브랜드로서 시장 포문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다만, 높은 상징성에도 최근 몇 년 간 지속된 적자 등을 바탕으로 회생절차를 밟는 것이 놀랍지 않다는 업계 중론이다.


2020년 영업손실 -144억원으로 적자 전환한 이래 뮬라는 수익성 부진을 겪어왔다. 가장 최근 공시 시점인 2023년 -28억원까지 손실 폭을 크게 줄였지만, 기업회생 신청을 근거로 아직 발표되지 않은 지난해에도 적자가 지속됐을 것이라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당장에 뮬라의 영업 활동이 어려워지면서 토종 브랜드 구도도 젝시믹스·안다르 2강 체제 국면으로 굳혀지는 양상이다. 다만, 한국 시장을 노린 해외 애슬레저 웨어 브랜드의 공세가 거세지면서 실적 방어를 위한 돌파구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2016년 국내 사업을 본격화한 캐나다 요가복 브랜드 '룰루레몬'만 봐도 뮬라를 제치고 업계 3위로 자리매김하는 상황이다. 2023년 나란히 2000억원대 매출을 기록한 젝시믹스·안다르에 이어, 같은 기간 룰루레몬의 경우 매출 1173억원을 올리면서 뮬라(389억원)를 큰 폭으로 제쳤다.




국내 브랜드 대비 룰루레몬은 고가 정책을 내세우고 있지만 그만큼 높은 품질이 뒷받침하고 있으며, 글로벌 브랜드라는 이름값이 소비자들에 먹혀들었다는 평가가 뒤따른다. 해외 브랜드인기가 늘면서 '요가복 업계 에르메스'로 불리는 미국 브랜드 '알로요가'까지 오는 4월 한국 공식 진출을 예고한 상태다.


반대로 젝시믹스와 안다르는 성장 정점을 찍은 내수 시장을 넘어 글로벌 현지 소비 접점을 넓히면서 숨통을 틔우고 있다.


안다르는 서구권 고소득국가 위주로 영향력을 넓힐 계획이다. 현재 일본·싱가포르 등 아시아권 위주로 온·오프라인 사업을 병행 중인데, 팝업 스토어를 제외하면 오프라인 매장은 싱가포르 내 2곳이 전부다. 최근에는 호주 시드니 번화가 내 웨스트필드몰에 단독 매장 출점을 위한 준비 작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향후 미국 진출도 공식화했다.


젝시믹스의 경우 기존대로 주력인 아시아권 중심으로 매장 출점에 탄력을 낸다. 현재 젝시믹스는 중국과 일본에서 각각 정식 매장 10곳, 3곳을 보유하고 있으며 올 상반기 대만에도 오프라인 매장 개점을 앞두고 있다.


젝시믹스 관계자는 “올해 일본과 대만 모두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수익성 극대화를 위해 힘쓸 것"이라며 “중국에서는 현지 파트너사인 YY스포츠와 함께 올해 50개 이상 매장을 늘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하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