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분기 성적표 기다리는 보험사들…어닝쇼크 전망에 ‘고무줄 실적’ 논란 예상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03 18:10

상장 보험사 8곳, 작년 4분기 순익 하락 예상
삼성생명·화재·DB손보 등 어닝쇼크 전망

독감 유행·자동차보험 적자에 손보업권 비상
IFRS17 가이드 변경 영향…당국에 화살도

보험사.

▲상장 보험사 8곳의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1조664억원)대비 9% 줄어든 9740억원으로 예상된다.

보험사들의 4분기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어닝쇼크 우려가 불거지고 있다. 업계가 지난 3분기까지 최대실적 행렬을 이어온 바 있어 실적 신뢰성에 대한 논란이 당분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생보사 맏형 삼성생명 어닝쇼크 예상…보험사 성적표 우울

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상장 보험사 8곳(삼성생명·삼성화재·DB손해보험·한화생명·현대해상·한화손해보험·미래에셋생명)의 지난해 4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1조664억원)대비 9% 줄어든 9740억원으로 예상된다.


보험사 평균 실적 하락에는 생보업계 1위 삼성생명의 실적 부진이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된다. 다올투자증권에 따르면 삼성생명의 지난해 4분기 지배순이익은 2351억원으로 전년대비 47.2%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증권가 평균 예상치(컨센서스)를 7% 하회하는 수준이다.



이는 금리 인하 여파로 건전성 악화가 심화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비우호적인 대외 여건으로 삼성생명의 자본비율 부담이 심화됐고 킥스비율은 3분기 말 193.5%였으나 4분기는 금리 하락과 삼성전자 주가 하락, 가정변경으로 인해 190%를 하회할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삼성화재는 4분기 지배주주순이익이 전년동기대비 38% 증가한 2415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 역시 시장 기대치 대비 7% 하회한 수치다. 안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CSM 상각익은 견조하나 예실차 악화와 계리적 가정 변경에 따른 비용 반영, 자동차보험 손익 부진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삼성화재에 대해 '어닝쇼크'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김도하 연구원은 “투자손익에서 처분손 인식이 영향을 줬으며, 금융자산 처분손실에 의해 평가보다 부진한 투자수익률(2.3%)을 기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DB손해보험은 미국 캘리포니아 산불이 직접적인 실적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해당 지역에 37건에 계약을 보유하고 있어 손실 규모가 최대 1000억원에 이를 것이란 추산이 나온 바 있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DB손보의 4분기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8% 감소한 1630억원으로 시장 예상치인 2515억원을 35% 하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대해상도 어린이보험 영향으로 손실액이 대형 손보사 중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됐다. 독감 환자가 늘면 실손보험 청구가 급증하고 이는 보험사 예실차(예상과 실제 차이) 손실 확대를 불러온다.



손보업권 실적잔치 멈출 것…회계처리 가이드 변경 영향

손보업권의 경우 지난 3분기까지 이어오던 최대 실적 행렬을 멈추게 될 것이란 예견이 나온다. 지난해 3분기까지 주요 손보사(삼성·DB·메리츠·현대·KB·한화)는 누적 약 7조37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해 전년동기 대비 두자릿수 이상 실적이 증가하는 등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둔 바 있다. 손보사들은 종신보험 둔화 등으로 생보업권이 부진하자 보다 높은 실적 개선세를 나타냈지만 작년 말부터 독감과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보험 청구 급증이 이어지고 있다.




손보 업권 전반에 대한 실적 부진 전망도 적지 않다. 지난해 말 유행하기 시작한 독감은 실제로 실적에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1월 둘째 주 기준 외래 환자 1000명당 독감 의심 환자는 86.1명으로 2016년 이후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독감 관련 보험금 청구 금액은 지난해 12과 올해 1월 정점수준을 기록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자동차보험 적자도 커지고 있다. 자동차보험 점유율 1위인 삼성화재의 지난해 11월 손해율은 92.8%로 전년동기(87.9%)대비 4.9%p 급등했다. DB손보(87.5%)와 현대해상(97.8%)도 11월 손해율이 전년동기대비 크게 올랐다. 대신증권은 지난해 자동차보험 부문에서 삼성화재(-920억원), 현대해상(-750억원), DB손보(-700억원) 등이 적자를 냈을 것으로 봤다.


다만 독감 유행과 폭설 등으로 불과 한 분기 만에 실적이 급하강하는 것을 두고 고무줄 실적에 대한 논란이 불거질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회사별로 예상치 못한 변수나 하락 요인이 작용했지만,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도 업계에 어닝쇼크가 나타나지 않았던 만큼 일회성 변수보다 금융당국의 회계처리 가이드라인 변경 영향이 실적에 크게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하반기 업계에 무·저해지 보험에 대한 해지율 가정을 이전보다 보수적으로 추산하도록 업계에 개정을 요구한 바 있다. IFRS17은 미래이익(CSM)을 상각하는 방식으로 손익을 인식하기 때문에 회계처리 가정 변화가 실적에 큰 영향을 준다.


당초 금융당국이 제시한 회계처리 가이드라인 영향이 다소 보수적이고 모호했다며 실적 하락의 화살이 당국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있다. 업계는 금융당국이 IFRS17 가이드 적용 이후 기준을 개정해가는 과정에서 급격한 실적변동이 나타난 것이란 목소리다.


다만, 연간 실적 발표 이후 일회적 요인 발생에도 업계가 비교적 안정적인 실적 변동을 나타낸다면 IFRS17 도입 이후 불거진 보험사 실적 신뢰성에 대한 잡음이 점차 줄어들 것이란 시각도 있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IFRS17 도입 후 지속적으로 불거져온 거품 논란이 줄어들게 되면 당국의 거듭되는 개정 요구도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보험사들의 기업가치도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등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경영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경현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