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 뷰티업계 ‘동생 브랜드’ 데뷔무대 역할 ‘톡톡’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7.06 17:16

마몽드 ‘미모 바이 마몽드’, 더샘 ‘드롭비’ 등 등용문 역할

원조 브랜드 신뢰에 합리적 가격 더해 품절·재입고 잇따라

전국 1500개 다이소 매장 입점으로 홍보·유통망 확보 효과

다이소

▲다이소에서 화장품을 구경하는 소비자 모습.사진=연합뉴스

균일가 생활용품점 아성다이소가 뷰티업계 '동생(세컨드) 브랜드'의 요람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이들 세컨드 브랜드들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브랜드 콘셉트와 다이소의 기업 가치가 맞아떨어지면서 효과가 극대화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평가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재 다이소 뷰티(스킨케어·메이크업) 카테고리에는 60여개 브랜드가 입점해 있다. 이중에서 다이소 전용의 세컨드 브랜드는 △미모 바이 마몽드(마몽드) △바이 오디-티디(CNP) △태그(투쿨포스쿨) △트윙클팝(클리오) △본셉(토니모리) △드롭비(더샘) △식물원(네이처리퍼블릭) △초초스랩(조성아 뷰티) △랩잇(닥터지) △투에딧 바이 루나(루나) △플레이 101 바이 에뛰드(에뛰드) 등이다.


특히 지난해 9월 론칭한 미모 바이 마몽드 라인은 품절과 재입고를 반복한 스킨케어 제품 '로지-히알론 리퀴드 마스크' 인기에 힘입어 출시 4개월 만에 100만개 이상의 누적 판매량을 기록했다.



바이 오디-티디도 트러블케어 제품 '스팟 카밍 젤'을 비롯해 전 라인이 주목을 받으며 지난해 9월 론칭 이후 올해 5월 말 기준 100만개 이상 판매됐다.


다소 생소한 이름에도 세컨드 브랜드는 소비자의 선택을 받았다. 그동안 '원조'가 쌓아온 신뢰감 덕분에 최소 500원, 최대 5000원의 저렴한 가격에도 소비자는 망설이지 않고 이들에게 손을 뻗었다.




이는 뷰티 기업들이 다이소의 균일가 정책에 맞춰 세컨드 브랜드를 론칭하기 때문이다. 기존 제품보다 용량을 줄이고, 포장 용기를 유리병 대신 비닐포로 제작해 가격을 낮췄다. 주요 성분은 같지만 원료 배합 비율을 조정해 본품의 효과와 효능을 유지하는 데 힘을 썼다.


또 장기적인 관점에서 가격을 낮게 책정해도 이점이 많다는 부분을 고려했다. 다이소에는 취급하는 뷰티 제품이 많지 않아 경쟁이 덜 치열해 홍보 효과가 높다. 또 다이소가 전국 150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하고 있어 입점과 동시에 전국 유통망을 확보하게 된다.


이를 통해 다이소도 세컨드 브랜드와 함께 동반 성장하는 윈윈 효과를 누리고 있다. 다이소에 따르면 다이소는 지난해 뷰티 사업이 급성장하면서 전체 매출 3조9689억원, 영업이익 3711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다. 특히 뷰티 부문만 전년대비 144%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나아가 올해는 1분기부터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매출이 130% 증가하며 무서운 속도를 내고 있다.


다이소 관계자는 “그동안 다이소가 쌓은 소비자와의 높은 접점과 합리적 가격 이미지가 신생 브랜드의 판로 개척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며 “각 브랜드가 자사 가격 정책에 맞춰 제품을 납품할 수 있어 매출이 동반 상승하는 결과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백솔미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