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2025년 수출기업의 경영환경 전망’ 보고서 발간
수출기업 37% “작년보다 경영환경 악화 전망”
'트럼프 2.0' 시대 본격적으로 글로벌 무역 전쟁이 시작됐다. 환율은 치솟고 물가는 잡힐 줄 모른다. 앞날을 예측하기 힘든 유가도 시련이며 통상을 넘어 인공지능(AI) 등 첨단 분야로 번지고 있는 미국-중국 패권 경쟁도 한창이다.
우리나라 수출 기업들 앞에 놓인 불확실성들이다. 기업들은 경영환경이 개선되기 위해 환율 안정과 물류 지원이 절실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전망과 관련해서는 37% 가량이 작년 대비 분위기가 좋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무역협회는 4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년 수출기업의 경영 환경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2023년 기준 수출 실적이 50만달러 이상인 회원사 2000개사를 대상으로 지난해 11월25일∼12월9일 실시한 설문 결과가 담겼다. 조사는 온라인 설문 형식으로 진행됐다. 응답 회수율은 50.5%다.
보고서에 따르면 통상 환경 불확실성에도 응답 기업의 48.6%는 '올해 전반적인 경영 환경이 작년과 유사할 것'이라고 답했다. 37.3%는 '전년 대비 경영 환경이 악화할 것'이라고 봤다.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14.2% 정도 나왔다.
품목별로는 수주 물량 증가로 선박 분야에서 전반적인 경영환경 및 투자 활동 개선 기대가 두드러졌다. △화학공업제품 △플라스틱·고무·가죽제품 △무선통신기기·부품 등은 경영환경 악화와 더불어 국내외 투자 위축 우려도 큰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업종은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인한 경쟁 심화도 걱정하고 있다.
미국의 보편관세가 도입되더라도 우리 기업의 대미 수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됐다. 응답 기업의 55.5%는 보편관세 부과 후에도 대미 수출은 전년과 유사할 것으로 봤다. 보편관세는 모든 국가에 동일하게 부과되기 때문에 같은 환경 속에서의 경쟁으로 받아들였다는 해석이다.
관세 영향에도 불구하고 대미 수출 증가를 전망한 산업군은 미국의 제조 역량이 부족한 선박,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통신, 한류 인기에 힘입은 미용기기 및 화장품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대미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대체시장 발굴'(27.3%), '원가절감'(25.6%) 등을 고려하고 있었다. '현지생산 확대'를 생각하는 기업은 4.1% 수준이었다.
보고서는 응답 기업 90% 이상이 대미 통상환경 변화에 대해 1~2가지 대응책만 고려하고 있는 등 전략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지적했다.
수출기업들은 경영환경 개선을 위해 최근 변동성이 큰 '환율 안정'(28.1%)과 '물류 지원'(15.7%)을 가장 최우선 지원 정책으로 꼽았다. 이어 '신규시장 개척'(14.3%)과 '세제지원'(13.8%) 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환율 상승세의 경우 수출기업에 일부 유리한 측면도 있지만 과도한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는 게 기업들의 생각이다.
일각에서는 물류 바우처 지원 확대, 신규시장 개척을 위한 바이어 매칭 서비스 강화 등 산업별로 필요한 분야를 맞춤 지원해 수출기업 경영 부담을 덜고 수출 확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허슬비 무협 연구원은 “최근 환율 변동 폭이 커 자금운용에 대한 기업들의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물류비 역시 지정학적 불안정성으로 예측이 힘들어 이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함께 향후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보호무역조치에 대해서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