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파나진, 두바이 ‘메드랩 2025’서 美 FDA 등록 기술 소개
GC녹십자의료재단·SD바이오센서 등도 첨단 진단기술 선보여
엔데믹 ‘터널’에 美 트럼프 관세 걱정까지…수출 다변화 ‘잰걸음’
![HLB](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05.0ace47b84ef145dfa85e90e93c9ba4e7_P1.jpg)
▲3~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월드트레이드센터에서 열리는 '메드랩 미들이스트 2025'에 참가한 HLB파나진의 전시부스 모습
코로나 엔데믹 이후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국내 체외진단기기 업계가 중동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진단기기 전시회에 참가해 수출길을 넓히고 부활 모멘텀을 찾을지 주목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HLB그룹의 유전자진단 계열사 HLB파나진은 3~6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의료·진단기기 전시회 '메드랩 미들이스트 2025'에 참가해 중동 및 유럽 수출 다변화를 모색한다.
올해로 9회째를 맞은 메드랩은 중동국가를 중심으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진단기기 및 의료기기 전시회로 올해는 180개국 800여개 기업이 참가하고 2만여명의 참관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HLB파나진은 자회사 바이오스퀘어의 양자점(양자화 특성이 나타나는 수~수십 나노미터 크기의 소재) 기술기반 면역진단기술이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등록된 이후 처음으로 바이오스퀘어와 함께 공동부스를 마련해 공격적 마케팅에 나선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
HLB파나진은 디옥시리보핵산(DNA)이나 리보핵산(RNA)과 유사한 합성고분자 물질인 '펩타이드핵산(PNA)' 기반 분자진단 기술에 강점을 갖고 있으며, 메드랩 행사 첫날에만 PNA 분자진단 기술과 양자점 면역진단기술에 대해 유럽, 아시아, 중동 등 40여개 업체와 상담을 완료했다.
HLB파나진 관계자는 “이번 메드랩 참가는 바이오스퀘어의 진단기술이 미국 FDA에 등록된 이후 처음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는 자리인 만큼 첫 날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며 “이번 전시회를 계기로 글로벌 판로 확장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GC녹십자의료재단 역시 단독부스를 운영하고 알츠하이머 검사와 중금속 검사 등 중동시장의 수요에 맞춘 제품을 중심으로 마케팅 활동을 펼친다.
특히 GC녹십자의료재단은 이번 전시회에서 디지털 시스템을 활용, 실제 검체의 물리적 전달 없이 디지털 파일로 전달해 실시간 진단 및 자문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일 방침이다.
에스디바이오센서는 한 번의 채혈만으로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매독, B형 간염의 감염 여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스탠다드 큐 HIV·매독·B형 간염' 진단기기 제품을 소개한다. 이들 세 질병은 임신부가 감염될 경우 태아에게 직접 감염될 수 있어 국제기구에서 주의깊게 감시하고 있는 질병으로 스탠다드 큐 HIV·매독·B형 간염은 연내 출시를 앞두고 있다.
이밖에 2018년 세계 최초로 인유두종바이러스(HPV) 100종을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장치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검출할 수 있는 키트를 상용화한 SML제니트리는 19종의 호흡기 바이러스와 6종의 폐렴 원인균을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첨단 다중 분자진단 기술을 선보이고, 수젠텍, 엔젠바이오, 진매트릭스 등도 K-진단기기 기술을 알리는데 주력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체외진단기기 수출은 코로나 팬데믹 특수가 끝난 2023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전년대비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감소폭은 계속 줄어들어 2023년에 전년대비 76.1% 감소한데 이어 지난해 15.0%, 올해 13.2% 수출 감소세가 전망된다.
업계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으로 수출 다변화 필요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중동지역이 의료기기 수입의존도가 높고 정부차원의 헬스케어 투자가 확대되고 있을 뿐 아니라 유럽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도 하는 만큼 업체들이 중동 진출을 통한 글로벌 수출확대에 더욱 적극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