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매출 11조4974억, 3.3% 증가…소비침체에도 외형성장
백화점·면세점·패션 영업익 감소…대법원 통상임금 판결 주요인
신세계까사·라이브쇼핑 등 계열사 선전…“내실 경영 강화할 것”
신세계가 지난해 내수부진 속에서도 매출이 증가하며 외형성장에 성공했다. 면세업계 불황으로 면세점 사업이 영업적자로 돌아섰으나 신세계까사 등 다른 계열사가 선전한 점도 올해 실적 회복의 기대요인으로 평가된다.
6일 신세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1조4974억원, 영업이익 479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3.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3.4% 감소한 실적이다.
내수침체 속에서도 매출이 증가한 것은 대규모 디저트 전문관, 고급 푸드 홀 등 기존에 없던 새로운 공간을 선보인 영향이 컸다.
지난해 2월 문을 연 국내 최대 디저트 전문관 '스위트파크'가 매출효자 노릇을 하면서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은 지난해 2년 연속 매출 3조원을 넘어섰다.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에 선보인 고급 푸드 홀 '하우스 오브 신세계'도 강남점과 인근 JW메리어트호텔서울을 연결하는 지하공간에 와인매장 등 고급 외식공간을 선보여 백화점과 매출 시너지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평가다.
매출 증가에도 영업이익이 감소한 이유는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명절상여금과 성과급을 통상임금으로 산입해야 한다고 결정하면서 퇴직급여 충당금 등 일회성 인건비가 증가한 영향이 컸다.
신세계는 이러한 통상임금 요인을 제외하면 지난해 백화점 부문 영업이익은 직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신세계디에프가 운영하는 면세점 사업도 지난해 매출은 2조60억원으로 전년대비 4.7% 늘었지만 영업손실은 359억원을 기록해 전년대비 적자전환했다.
신세계디에프 역시 중국인관광객 급감, 임차료 부담 등 면세업계 불황 속에서도 매출이 늘었지만 통상임금 산입이 적자전환의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패션·뷰티 계열사 신세계인터내셔날도 지난해 이상고온에 따른 가을·겨울 아우터 의류 매출 저조 등으로 지난해 매출은 1조3086억원으로 3.4%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268억원으로 45.0% 감소했다.
다만 신세계는 백화점과 면세점 외에 다른 계열사의 선전에 위안을 삼는 모습이다.
서울 강남고속터미널과 JW메리어트호텔서울 등을 운영하는 신세계센트럴시티는 지난해 매출 3753억원, 영업이익 857억원으로 각각 7.3%, 7.9% 늘었다.
지난 2018년 신세계그룹에 편입된 가구 계열사 신세계까사는 소파 브랜드 '캄포'와 숙면을 위한 매트리스 '마테라소' 등의 성장에 힘입어 지난해 매출 2695억원, 영업이익 10억원을 기록, 매출은 14.6% 늘고 영업이익은 신세계 편입 이래 처음 흑자로 올라섰다.
신세계라이프쇼핑 역시 지난해에 15.6% 증가한 3283억원의 매출과 34.1% 증가한 177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2022년 신세계 그룹에 편입된 이래 최고 실적을 보였다.
신세계는 올해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식품관 새단장, 서울 중구 본점 헤리티지 건물 신규 오픈 등 상권별 차별화된 콘텐츠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지난해 어려운 업황에도 백화점을 비롯한 대부분 연결 자회사가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며 “올해도 회사별 본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내실 있는 경영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