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가 비이자이익 증대에 힘입어 작년 연간 순이익 3조원대를 달성했다. 특히 환율 급등에도 보통주자본(CET1)비율 12.08%로 12%대를 지켜냈다.
우리금융은 작년 당기순이익 3조860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23.1% 증가한 수치다.
우리금융 측은 “불확실한 대내외 경제 여건 속에서도 향상된 이익 창출력과 적극적인 비용 관리를 통해 역대 두 번째 수준의 호실적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그룹 자기자본이익률(ROE)는 9.3%로 전년 대비 1.0%포인트(p) 개선됐다.
4분기 당기순이익은 4261억원이었다.
지난해 그룹 전체 이자이익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8조8860억원이었다. 지난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두 차례 인하했음에도 중소기업 특화점포 신설, 국가첨단전략산업단지 중점 지원 등을 통해 기업대출 부문을 9.0% 성장시킨 결과다.
비이자이익은 1조5540억원으로 전년 대비 41.9% 증가하며 전체 이익을 견인했다. 특히 은행, 비은행부문의 영업 다각화 전략에 힘입어 수수료 이익이 전년 대비 21.3% 불어난 2조860억원을 기록했다. 순영업수익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 수준까지 확대됐다.
그룹 판매관리비용률은 42.8%였다. 증권사 출범 및 디지털, IT 투자 확대 등 비용이 증가했음에도, 꾸준한 비용효율화 결실로 전년 대비 0.7%포인트 줄었다.
그룹 대손비용은 연간 1조7163억원이었다.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그룹 0.57%, 은행 0.23%였다. NPL커버리지비율은 그룹 153.0%, 은행 247.4%였다.
그룹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12.08%로 전분기 대비 0.13%포인트 개선됐다. 4분기 환율이 150원 급등하면서 CET1 비율이 약 40bp(1bp=0.01%p) 감소 영향이 있었지만, 전사적인 위험가중자산 관리 노력에 힘입어 CET1 비율 12%대를 지켜냈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우리금융 이사회는 주당 660원의 결산 배당을 결의했다. 이로써 작년 연간 배당금은 주당 1200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올해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는 전년 대비 약 10% 증가한 1500억원으로 결정했다.
우리금융그룹은 올해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비과세 배당을 통한 주주의 실질적 배당수익률을 확대하고, 분기배당 선진화 절차도 도입할 계획이다.
우리금융그룹 관계자는 “올해를 자본비율 개선 원년으로 삼아 금융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할 것"이라며 “자산리밸런싱을 통한 최적의 포트폴리오 구축, 소상공인 지원 등 취약계층에 대한 상생금융 확대, 내부통제 고도화 등에 박차를 가해 고객과 시장의 신뢰를 강화하고 종합금융그룹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는 한 해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밝혔다.
계열사별 실적을 보면 우리은행은 작년 순이익 3조394억원으로 전년 대비 21.3% 증가했다. 이 중 이자이익은 7조5660억원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비이자이익은 58.9% 성장한 1조710억원을 달성했다.
우리카드는 작년 순이익 1470억원, 우리금융캐피탈 1420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32.4%, 10.9%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