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업계, 내수부진·통상임금에 영업이익 감소세 ‘시름’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09 01:57

신세계·현대百, 지난해 매출 성장에도 영업익 감소

롯데百, 매출·영업익 동반감소…“통상임금 직격탄”

이마트 매출 3년째 정체…GS25·CU도 수익성 둔화

유통 백화점

▲롯데백화점 본점(왼쪽부터),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현대백화점 압구정본점. 사진=각사

백화점, 마트, 편의점 등 주요 유통기업들이 지난해 외형성장에 비해 수익성은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적극적인 출점·리모델링 등으로 매출은 다소 성장한 곳이 많지만 고물가에 따른 소비침체에 더해 지난해 말 대법원의 통상임금 판결이 인건비 증가에 영향을 미쳐 대부분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백화점과 면세점 등을 운영하는 신세계는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1조4974억원, 영업이익 479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대비 매출은 3.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33.4% 감소한 수치다.


지난해 매출이 성장했음에도 영업이익이 감소한 이유는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명절상여금과 성과급을 통상임금으로 산입해야 한다고 결정하면서 퇴직급여 충당금 등 일회성 인건비가 증가한 영향이 컸다.




오는 11일 지난해 실적을 공시할 예정인 현대백화점 역시 매출은 소폭 늘어난 반면 영업이익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증권가는 현대백화점이 지난해 매출 4조2200억원, 영업이익 2840억원 가량을 올려 전년대비 매출은 0.3% 늘고 영업이익은 6.4% 감소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등을 운영하는 롯데쇼핑은 소비침체와 대법원 통상임금 판결 영향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롯데쇼핑은 잠정실적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3조9866억원, 영업이익 4731억원을 올려 전년대비 각각 3.9%, 6.9%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롯데쇼핑은 대법원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추가 인건비 532억원을 제외하면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7% 증가한 것으로 파악돼 실적부진의 아쉬움이 더 컸다.


이마트의 경우 아직 지난해 실적을 공시하지 않은 상태로, 지난해 매출 29조1000억원, 영업이익 1440억원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전년대비 매출은 1.3% 가량 줄어 2022년 이래 3년째 매출 29억원대에 머무른 것으로 추정된다.


영업이익은 자회사 신세계건설의 대규모 손실이 반영됐던 2023년에 비하면 흑자전환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2020년 2372억원, 2021년 3168억원에 비하면 아쉬운 규모다.


편의점은 백화점, 마트에 비해 대법원 통상임금 판결 충격이 덜하지만 고물가 등 소비침체에 따른 수익성 둔화를 피하지 못했다.


편의점 GS25 등을 운영하는 GS리테일은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 11조6551억원, 영업이익 2381억원을 올린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대비 매출은 4.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8.1% 감소한 수치다.


특히, GS리테일은 편의점 사업부문 매출이 8조6661억원으로 전년대비 5.1%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946억원으로 10.9% 감소했다.


수퍼마켓(GS더프레시)은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전년대비 증가했고 홈쇼핑(GS샵)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했지만, 주력인 편의점 부문의 실적이 외형 성장에 비해 수익성 악화의 결과를 가져온 전체 실적에 영향을 미친 셈이다.


GS리테일은 편의점·수퍼마켓 신규 출점으로 매출이 성장했으나 광고·판촉 등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오는 11일 지난해 잠정실적을 공시할 예정으로, 증권가는 BGF리테일이 지난해 매출 8조6420억원, 영업이익 2540억원을 올린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년대비 매출은 5.5%, 영업이익은 0.4% 가량 증가한 수치로, BGF리테일 역시 외형성장에 비해 수익성 둔화 양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는 올해에도 고물가, 정국 불안정성 등 소비심리 위축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주요 유통기업들이 경영효율화에 주력하는 동시에 신규시장 개척을 위해 해외진출에 적극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철훈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