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기준 전력망 알박기 점검결과 호남권 0.3GW(전국 1.6GW) 여유물량 확보
3월 말, 기타 전국물량(1.3GW) 배분 예정
당국 “2031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 41.3GW 예정...혁신적 대책 마련 시급”
![1](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12.eae15466bce94f40b5017b55e1f150a9_P1.png)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달말부터 호남지역 재생에너지 336메가와트(MW)의 계통 접속을 추진한다. 이번 336MW는 산업부가 전력망만 선점하고 발전사업을 하지 않는 허수사업자 관리를 통해 확보한 여유용량이다.
12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전력당국은 이 같은 자세한 내용을 13일부터 한국전력공사 누리집(한전on)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신규 발전사업 희망자는 28일 0시부터 여유물량 소진시까지 신청접수 순으로 배분받을 수 있다.
발전사업허가 취득 사업자는 한전에, 발전사업허가 취득 전 사업자는 허가기관에 신청하면 된다.
전력당국은 무탄소전원 확대 등 전원믹스 이행을 위해 전력망 투자계획을 대폭 확대해 추진하고 있다. 다만, 전력망 건설에 소요되는 시간인 표준공기는 9년(345kV 기준)으로, 단기간 내 확충에 한계가 있으며, 최근 전력망에 대한 낮은 주민수용성, 지자체 인허가 지연 등을 고려할 때, 전력망 적기건설은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동시에 일부지역에서 지역 내 수요보다 많은 발전설비가 전력망 보강 전에 진입함에 따라 계통수용용량 부족으로 인한 출력제어 상시화가 우려되고 있다. 이를 예방하고자 당국은 지난해 5월 말부터 '출력제어 최소화를 위한 계통관리변전소'를 안내하고 있으며, 동 변전소에 접속을 희망하는 발전설비는 전력망 보강시점 이후 접속 조건부로 발전사업 허가가 가능하다.
2023년 기준 호남지역 평균 부하는 6.2기가와트(GW)임에 비해 상업운전 중인 재생에너지 설비는 11GW에 달한다. 아울러 2031년까지 32GW 규모(발전사업 허가 완료)의 재생에너지가 추가진입해 총 43GW 규모로 증가 예정이다.
이에 따라 전력당국은 전력망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망 보강 이전이라도 전력망 연계가 가능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