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회 에너지시설안전포럼] “분산에너지, 기업 ESG 경영 필수 영역될 것”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14 14:00

오준석 한전 배전망사업실 팀장 “분산에너지-배전망 확대 따른 새로운 안전 개념 구축해야”
RE100 등 ESG 경영 위해 기존 대규모 발전원-송전망 시스템 아닌 분산에너지 수요 늘어
전기차, 태양광 등 에너지시설 일반인들과 가까워져, 리스크 대응 부실하면 공급 확대 걸림돌

1

▲1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홀에서 에너지경제신문·에너지경제연구원 주최로 열린 '제7회 대한민국 에너지시설안전 포럼'에서 오준석 한전 배전망사업실 팀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유병욱 기자

“기업이 ESG경영의 핵심인 RE100 등 탈탄소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형 발전원이 아닌 소규모 분산에너지를 많이 활용하게 될 것입니다. 분산에너지 설비가 국민 생활에 밀접해질수록 기업들의 안전에 대한 책임감도 커져야 합니다."




오준석 한국전력공사 배전망사업실 팀장은 13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제 7회 대한민국 에너지시설안전 포럼'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오 팀장은 “분산에너지가 늘어나면 대규모 발전시설과 송전망이 아닌 수요지 인근의 소규모 발전원과 배전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게 된다. 그만큼 국민 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안전과 관련한 이슈들도 늘어날 것"이라며 “기존 화력과 원자력 같은 대규모 발전설비와는 다른 소규모 분산에너지의 특성에 맞는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 중요해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전기차나 태양광 등이 늘어나고 있는데 아직까지 안전에 대한 관리의식이 상대적으로 약한 게 현실이다. 지역주민들은 규모에 상관없이 위험한 설비로 인식하는 게 현실"이라며 “안전에 대한 리스크 대응이 부실할 경우 공급체계 확대에 걸림돌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오 팀장은 “분산에너지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사업자들도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며, ESG 경영 이행을 위한 최소한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한전 같은 경우도 중대재해법 제정 이후 작업자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 팀장은 분산에너지 확대에 따른 기업들의 ESG 경영을 위한 방침 세가지를 제안했다.


먼저 환경(E) 차원에서는 친환경(무탄소 전원)+친환경(예방적 환경보호 등)을 위한 목표 수립과 노력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신규사업 추진 시 신재생 등 무탄소 전원을 장려, 친환경 기자재 사용, 환경파괴를 최소화하는 적정부지 선정, 환경복구 노력 등이다.




사회(S)분야는 분산에너지 설비에 대한 안전경영,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노력이다. 분산에너지 설비 설치 공사, 관리, 유지보수 인력에 대한 안전보건관리, 재난재해 대응을 위한 선제적 설비 관리 등이다.


거버넌스(G)차원에서는 정부(공공기관)와 사업자 간의 상생협력체계 구축 노력을 강조했다. 정부의 관리방침 등에 대한 적극적인 이행과 의견을 개진해 국가적 리스크 관리체계로서의 협력채널 구축 필요성이 제시됐다.


오 팀장은 “분산에너지 확대는 이미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설비 하나하나가 결국 기업의 ESG 경영 이행을 위한 최소 단위"라며 “기업들은 안전 강화를 규제가 아닌 ESG경영의 기본으로 생각하고 안전관리 등 관심과 책임을 갖고 이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지성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