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접 운전대 잡은 CEO’ 우버 택시 가맹 2배로 늘렸다

에너지경제신문 입력 2025.02.20 15:01

송진우 코리아 총괄 '우버 택시 커넥트데이' 개최

올해 한국시장 공략…'우버 포 비즈니스' 출시

송진우 우버 택시 코리아 총괄

▲20일 서울 중구에 소재한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우버 택시 커넥트데이'에서 송진우 우버 택시 코리아 총괄이 직접 택시 운전사로 일한 경험에 대해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윤동 기자]

“셰프가 자기 음식 먹어보지 않고 좋은 음식이 나오지 않는 것처럼, 플랫폼 회사가 직접 자기 플랫폼을 써보지 않고는 좋은 서비스가 나오지 않는다"




송진우 우버 택시 코리아 총괄(최고경영자·CEO)은 우버 택시가 리브랜딩 1주년을 맞아 직접 택시 기사로 활동하면서 서비스 개선 작업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직접 택시를 몰아본 경험을 바탕으로 올해 한국시장 공략을 이끈다는 포부다.


택시 호출 플랫폼 우버 택시는 20일 서울 중구에 소재한 더 플라자 호텔에서 '우버 택시 커넥트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해 3월 우버 택시로 리브랜딩한지 1주년 동안의 주요 성과와 올해 성장 전략을 발표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송 총괄은 우버 택시의 서비스 개선을 위해 직접 택시 운전대를 잡은 경험을 공유했다.


그는 “지난해 9월부터 지금까지 시간이 나면 금·일요일 저녁에 6~8시간 정도 직접 택시 운전대를 잡고 있다"며 “기사님들에게 어떤 어려움이 있을지, 승객들은 우버를 어떻게 보고 있을지 현장 목소리를 들어보고자 시작했는데, 직접 경험하지 않았으면 몰랐던 부분을 발견하게 됐다"고 말했다.




송 총괄은 직접 경험한 것을 토대로 우버 택시의 목적지 미표시 콜, 안전 가림막 설치 등의 서비스 개선을 추진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한 송 총괄은 우버 택시 기사 평점이 5점 만점에 5점이 유지되고 있다고 자랑스레 밝히기도 했다.


그는 이러한 경험을 통해 우버 택시의 기본적인 서비스를 시급히 개선하는데 집중해 왔다고 강조했다. 우버 택시는 지난해 3월 UT에서 우버 택시로 리브랜딩해 글로벌 우버 브랜드와 연계성을 강화한 이후 적극적인 프로모션과 신규 서비스 도입을 통해 인지도 제고와 양적 성장을 추진해 왔다.




그 결과 2023년 대비 지난해 이용 건수가 50% 이상, 가맹 기사 수는 두 배 이상 늘었다. 특히 송 총괄은 택시 호출의 핵심인 신속한 배차 성공률을 대폭 개선하는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23년까지는 택시 호출 이후 기다리는 시간이 긴 경우가 있었지만 지난해는 통상 3분 이내에 배차를 하고 있다는 것이다.


송 총괄은 “플랫폼이 좋아진다는 것은 하루에 획기적인 서비스가 나와서 확 좋아지고 이런 것은 아닌 것 같고, 다양하고 여러 작은 변화들이 쌓여서 플랫폼이 좋아진다고 생각한다"며 “지금도 택시를 몰다가 이것저것 바꿀게 생기면 바로 저희 팀에 공유한다. 현장에서 개선해야할 부분 바로바로 반영하지 않으면 고객들에게 좋은 경험 제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동시에 송 총괄은 이날 글로벌 B2B 서비스인 '우버 포 비즈니스(U4B)'를 국내에서 공식 런칭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1년 동안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택시 호출 서비스 개선에 집중했다면 올해는 새로운 서비를 출시해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을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U4B는 외근·출장 등 업무 이동에 최적화된 차량 서비스와 간편한 경비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 전용 모빌리티 솔루션이다. 우버 앱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전 세계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어, 글로벌 사업을 운영하거나 해외에 진출한 약 200여개 국내 기업들도 이미 U4B를 활용하고 있다.


외국에서는 U4B 이용 기업의 84%가 이동 경비를 10% 가량 절감하는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올해 U4B 이외에도 한국 소비자들의 다양한 이동 니즈를 충족하기 위해서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송 총괄은 “우버 택시 이용자들은 공항 이동이 많은 만큼 대형 택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 프리미어 밴 서비스 출시를 준비하고 있고, 보다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 서비스도 올해 출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윤동 기자 기사 더 보기

0



TOP